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1286명의 중학교 학생들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를 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피어슨 상관계수에서 통합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 성별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학년, 온라인 수업의 형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단계입력방식 다중회귀분석 결과 통합적 동기, 도구적 동기, 성별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온라인 수업은 오프라인 수업과 비교하여 효과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의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n online and offline classes by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NESTs). Approach: 1286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program. Findings: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grative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gender,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and offline classes (SSOOC) by NES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rade, online class types, and SSOOC by NESTs.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tegrative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and gender were indepen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SSOOC by NES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nline classes were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offline classes. Value: This research provides factors that affect SSOOC by NESTs and some suggestions to improve SSOOC by N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