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부적정서경험과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관계에 부적정서경험의 매개효과와 사회인지 마음챙김이 매개된 조절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는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에게 2020년 5월 25일부터 6월 19일까지 설문을 시행하여 회수된 자료 426부에서 무응답 및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26부를 제외한 400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Test로 검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간에 부적정서경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정서경험 간에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사회인지 마음챙김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부적정서경험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심리적 소진을 감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힘을 길러주기 위해 필요한 부적정서경험과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적정서경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적용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nursery teachers’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a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effects the process of job stress causing their burn-out. In other words, we first assumed that the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ry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burn-out. We also supposed that the socio-cognitive mindfulness would give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upon the same relationship as well. The research which was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Gyeonggi-do had been conducted from May 25, 2020 to June 19, and gained 426 responded sheets. After excluding the 26 cases which were non-responsive or unavailable for analysis, we verified 400 data by using SPSS program with various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Tw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through the process. First, the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of nursery teachers’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nd it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as well. Second, socio-cognitive mindfulness gives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experiencing the negative affectivity of nursery teachers. This means if one does good in socio-cognitive mindfulness, it will prevent oneself from psychological burn-out by lessening the influence of his/her stress from daycare job directly to cause experiences of negative affectivi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socio-cognitive mindfulness is highly recommended, and it is necessary for nursery teachers for decreasing experience job stress, negative affectivity, and as a means of preventing the burn-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