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교 전임교원 사회의 성불평등 구조 현황을 2007년부터 2019년의 자료를 통해 종단적으로 검토하고, 가장 최근의 대학 교원 자료를 통해 성별이 여성 교원의 승진에 부적 효과를 끼쳐 학내 양성평등 환경의 조성을 저해하고 있는지는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지난 13년 간의 국내 4년제 대학교의 학생 및 전임교원의 성별 분포와 학위 취득현황, 전임/비전임 및 교내 직위 분포의 변화 양상 등을 살펴 보았을 때, 여성 박사학위자들의 배출과 이들의 대학 교원집단으로의 진입은 이 기간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기존의 남성지배적 조직구조의 틀은 여전히 공고히 남아 있어 학내에서 여성 교원의 정치적 지위는 여전히 취약해 보였다 이어 2017년 국내 4년제 대학 데이터(Edudata)를 대상으로 수행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여성이라는 요인은 부교수 승진에 대해서는 주로 조절변수로서, 정교수 승진에 대해서는 부적 효과를 보이는 독립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국내 대학 내의 독특한 맥락에 비추해 해석한 후 대학 교원 사회에서 지속되고 있는 성정치학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o what degree sexism in the Korean university faculty society has developed over the last 13 years and if ‘being famale’ still exerts negative effects on faculty promotion. The historical review based on the faculty data from 2007 to 2019 found that the male-dominate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mains firm although the number of female doctorates and newly-appointed female professors has increased remarkably during this period. The huge gender gap in political power within the faculty society seemed to be difficult to clos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age differences and enormous numb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rofessors. The results of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on the two steps of faculty promotion suggested that ‘be female’ either directly reduces probabilities of promotion or moderates its negative effects in several disciplines.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reflecting the unique context of Korean universitie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