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서구의 가족성 제도 및 그와 관련된 개인주의적 ‘덮어씌우기(coverture)’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그것이 서구 문명에 애초부터 내재했던 것이 아니라, 봉건왕조의 형성과 함께 ‘발명’된 역사적 구성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봉건왕조가 절대주의 국가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한층 강화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같은 전근대적 국가 형성의 문제와 함께 재산 소유의 문제가 성(surname)이나 가족성(family name)의 제도화에 매우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엥겔스가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에서 표명한 문제의식과 연결될 수 있으나, 엥겔스의 역사유물론과는 다른 현대의 신유물론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인명에 성을 사용하기 시작하고 그것이 가족성으로 자리 잡아가던 중세의 서유럽은 부족적인 게르만의 풍습과 서로마제국의 문명이 이질적으로 섞이면서, 지역별로 다양하고 불균등하게 봉건질서가 생성된 곳이다. 게르만족에게는 처음으로 광범위한 고유 문명이 형성된 시대였고, 그에 따라 봉건제라는 새로운 질서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족)성의 사용은 봉건국가의 인구통치와 재산 세습 과정에서 비롯되어 근대화 과정으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article I followed up the history of surname, which ends up patrilineal family name and coverture in European modern times. The surname was not originally immanent in West-European civilization, but invented during the High Middle Ages. It seems to have been introduced and developed with the feudal system being established. The population growth, the economic prosperity,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feudal political hierarchies seem to facilitate the use of surname, which was eventually established as inherited patrilineal family name system in 19th century Europe. In this article I try to revisit new-materialistically the historical materialism of F. Engels’ The Origin of the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The word ‘new materialism’ means on the one hand that I do not agree to the concept of the necessity of historical progress in a historical unit society by the immanent dynamics of the economic contra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medieval law of coverture, for example, was embodied as the biological difference between two sexes and as social institutions of modern patriarc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