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석탄・석유・전기・원자력 등이 발명되고 발달하기 전에는 나무・짚・풀・숯 등으로 통칭되는 땔감이 사용되었다.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연료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근대에는 땔감이 가장 중요한 연료였다. 땔감은 수요 주체에 따라 왕실과 관사에서 사용하는 관수용, 소금이나 도자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수공업용, 민들이 사용하는 민수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선후기 서울의 땔감 유통을 밝힘으로 당시의 연료소비와 유통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상인과 시전에 주목함으로써 조선후기 상업사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후기 서울의 땔감 유통이 발달한 가장 큰 원인은 땔감의 수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관수용 땔감은 관사의 증설과 궐내 온돌의 증가로 수요가 증가하였다. 민수용 땔감은 서울의 인구 증가와 민간의 온돌 사용 증가가 원인이었으며, 서울의 도시화도 관련이 있었다. 서울에서는 땔감을 구하기 쉽지 않았으므로, 서울 외의 지방에서 수운을 이용하여 땔감을 운반하고, 이를 경강변에서 땔감 상인이나 시목전이 구매하고, 다시 판매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땔감 상인은 선상과 육상으로 구분할 수 있고, 육상은 다시 지방에서 올라오는 상인과, 서울 내에서 활동하는 상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상인들은 도고와 난전의 주체가 되기도 했다. 시목전은 한강 유역을 따라 분포하고 있었다. 시목전은 시전의 국역부담에서 무푼각전으로 분류되었다. 용산을 중심으로 경강변을 따라 시목전이 확대되었고, 본전과 부용전으로 분화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육의전이나 그 외의 유푼각전과 비교하면 경영규모가 매우 작은 시목전에도 불구하고, 본전과 부용전으로 분화되어 있었다. 이는 땔감의 수요가 그만큼 많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땔감의 유통 발달은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흐름을 같이 하고 있었다. 18세기 이후 난전상인이 등장하고 도고상업이 전개되었다. 도고는 시목전의 도고와 柴商의 도고로 구분할 수 있다. 정조 연간에 여러 물품에서 도고가 극심하여 민들이 피해를 입게 되었다. 도고를 금단하고자 신해통공을 실시했지만, 생활필수품인 땔감까지 도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볼 때 당시의 도고는 매우 큰 문제였다.


Before the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coal, petroleum, electricity, nuclear power, etc., wood, straw, grass, charcoal, etc. co㎜only called firewood were used as fuel. Fuel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co㎜odity of people's daily lives. Therefore, firewood was the most important fuel in premodern times. Firewood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in demand; firewood for official residences and used by royal family and officials, firewood for manual industry such as making salt and ceramics, and firewood for the people. The actual condition of fuel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can be understood by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of firewood in Hanyang (old name of Seoul) at the time. In addition, the historical flow of co㎜erce in the late Joseon period can be confirmed by paying close attention on the activities of merchants and sijoen(市廛) in the distribution process. The main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firewood distribution in Hanya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e change in demand for firewood. The demand for firewood for official residences increased due to additional establishment of official residences and increased number of ondol(溫堗) in the palaces. In the case of firewood for the people, population increase and increased used of ondol in private houses in Hanyang were the major cause to distribution development. The urbanization of Hanyang was also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firewood distribution. It was not easy to get firewood in Hanyang. Therefore, a structure of distribution and sales was formed, in which firewood were transported from areas other than Hanyang using water transport, sold to merchants or simokjeon(柴木廛) on the banks of Hangang River and resold to the users. The firewood merchants can be grouped into seonsang(船商) and yuksang(陸商), and the latter can be categorized into merchants from provinces and merchants operating in Hanyang. These merchants were also the main agents of dogo(都賈) and nanjeon(亂廛). Simokjeon were distributed along the Hangang River basin and not within the capital city. Simokjeon were classified as mupungakjeon(無分各廛) in terms of the national taxation burden of sijeon. Centering on Yongsan, Simokjeon expanded along the Hangang River and were divided into bonjeon(本廛) and buyongjeon(附庸廛). Compared to yukuijeon or other yupungakjeon(有分各廛)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business scale of simokjeon was very small. Nevertheless, they branched out into bonjeon and buyongjeon, suggesting how the demand for firewood was significant. The development of firewood distribution wa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odity money economy. Dogo co㎜erce developed since the 18th century. There were two kinds of dogo; dogo for simokjeon and dogo for firewood merchants. In the year of King Jeongjo, dogo proliferated for several co㎜odities, causing great damage to the people. In order to prohibit the practice of dogo, King Jeongjo implemented Shinhae-Tonggong. The fact that dogo occurred in the trade of necessities such as firewood indicates how dogo was a serious problem at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