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주지하듯이,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 박람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 을 자랑하는 현재진행형인 ‘서적 무역의 메카’이다. 우리나라도 2005년에 이 박람회 의 주빈국 자격으로 참가하여 독일의 구텐베르크에 앞서서 금속활자를 발명했던 ‘원 조국’임을 전 세계에 과시했다. 프랑크푸르트 북 - 페어가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과 영 향력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이 국제행사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는 대단히 빈약하 다. 독일어권·영어권에서도 이 도서 박람회를 소재(주인공)로 한 논문이나 전문서는 아직도 거의 황무지 상태이다. 국내 학계에는 단 한 편의 논문조차도 출간되지 않았 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프랑크푸르트 도서 박람회의 역사적 기원, 형성과정, 성장과 쇠퇴의 시대적 환경, 관련된 주요 사건과 인물, 국제적인 영향력과 역사적 유산 등을 종합적으로 추적·서술함으로써 국내외 선행연구의 공백과 약점을 미력하게나마 수 정·보완하려는 것이 이 글의 핵심적인 의도이다. 본문은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Ⅱ장에서는 15세기 중엽에서 17세기 말에 이르는 시기에 걸친 ‘원조’ 프랑크푸르트 박람회의 초창기 모습과 성격 및 근대 적 전환기의 특징 등을 추적한다. 제Ⅲ장에서는 1949년에 부활한 현대판 박람회가 상업주의, 냉전체제, ‘68혁명 등 시대적 장애물을 극복하면서 국제적인 박람회로 전성 시대를 구가하는 과정을 2000년까지 비평적으로 서술한다. 제Ⅳ장에서는 전자책과 멀티미디어로 대변되는 디지털혁명이 가속하는 ‘구텐베르크 圖書 문명의 몰락’이라는 위기를 프랑크푸르트 박람회가 발전의 뜀틀로 삼고자 어떻게 애쓰고 있는지를 스케 치하며 책의 미래와 국제도서전의 지속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자면, 질적·양적으로 빈곤한 선행연구를 나침판 삼아 불완전한 부분을 꿰매고 채워나감으 로써 프랑크푸르트 박람회의 윤곽을 좀 더 입체적으로 드러내려는 것이 이 논문을 관통하는 주제 의식이다. 연구결과가 출판인쇄업자·서적유통 도소매업자·서적에이전 트 등 잊히거나 과소평가된 책 세상 종사자에 관한 관심을 자극하여 후속 사례연구 를 초대하는 투박한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 renowned for its long and rich history, is undoubtedly the mecca of the international book trade. Held annually every autumn in Frankfurt am Main, the Book Fair draws approximately 10,000 publishers, book dealers, and literary agents from more than one hundred countries worldwide. In spite of its important role and significant influence in this field, research has been rarely done on the event both in Korea and abroa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us, is to reexamine and reevaluate the ‘communication circuit’ of the fair, which starts from authors and then includes publishers, printers, book dealers, and finally readers, by focusing on and looking into the ups and downs of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 from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down to the present. In Chapter II the author keeps track of the Medieval origins of the Fair and explores its earlier developments made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Chapter III covers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s modern revival in 1949 and its internalization and progress accomplished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Especially Peter Weidhass, who served as director of the Fair between 1975 and 2000, launched new traditions such as the system of Topical Themes/ Focus of Interest and System of Theme Country/Guest of Honour. Chapter III also outlines the Frankfurt Book Fair’s struggle to cope with the digital revolution that threatened the death of Gutenberg Galaxy. The result was the Fair’s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into an electronic and virtual realm in the new millennium. In conclusion, the author reappraises that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 with its five - hundred rocky history, has been in the process of constantly re - inventing its self identity: moving away from an event for printers and publishers to one for book dealers and from literary agents’ fair to contents creators’ one. The author wishfully predicts that the Fair will prevail in the age of the so - called New Media Age as long as it, instead of remaining as a mirror reflecting passively the times, is not afraid of challenging and leading the future trend in the knowledge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