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의태어의 의미/어휘가 현대국어에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논의한 본 연구는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집, 판소리계 소설, 시조집, 기타 한글 소설, 언간 등을 자료로 이용하였다. 의태어는 반복형과 유음 반복형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는다. 첫째, 19세기 국어의 반복형과 유음 반복형 의태어는 335여 개이다. 둘째, 19세기에 쓰인 의태어들 중 소수의 의태어들은 현대국어에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첫째, 현대국어에서 다른 의태어로 대체되거나 의미가 달리 쓰이고 있는 의태어들이 있다. 둘째, 유의 경쟁을 통해 현대국어로 이어지는 의태어들이 있다. 셋째, 현대국어로 그 쓰임이 계승되지 않은 의태어들이 있다. 19세기는 근대국어 말기로 근대국어의 성격과 현대국어의 성격을 동시에 보이고 있기 때문에, 19세기 언어 자료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휘, 특히 의태어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의태어의 역사적 연구도 풍부하게 해 줄 것이며, 의태어 사전 편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the meaning/vocabulary of the 19th century mimetic words was inherited to modern Korean language, using Shin Jae-hyo’s Pansori editorial collection, Pansori novels, Sijo collections, other Hangul novels, and old letter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earch. First, there are about 335 mimetic words in the 19th century Korean repetitive and phonological repetition. Second, a small number of mimic words used in the 19th century appear in modern Korean as the following three types. First, in modern Korean language, it has been replaced with another mimetic word or has a different meaning. Second, there is an imitative word that leads to modern Korean language through competition. Third, there are pseudonyms whose use has not been inherited in modern Korean. Since the 19th centur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language, this study on the 19th century language materials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vocabulary of modern Korean, especially mimetic words. In addition, it will enrich the historical study of mimetic words and also be helpful in the compilation of a mimetic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