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본 지온인(知恩院)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불화 <오백나한도>의현상과 작품의 특징을 파악하여 원화에 가깝도록 충실하게 재현해 내는데 목적이 있다. 14세기까지 동아시아 <오백나한도>는 네 가지의 제작 형식을 갖고전개되었다. (1)일본 다이토쿠지(大德寺)에 소장된 <오백나한도>와 같은 100폭세트이거나 (2)엔가쿠지(圓覺寺)에 소장된 50폭 세트, (3)한 폭에 한 분씩 그린500폭의 독존 형식, (4)그리고 지온인(知恩院)의 소장본처럼 한 폭에 오백나한이 모두 그려진 형식 등이다. 한 폭에 오백나한이 그려진 것으로는 11세기 중엽에 법능(法能)의 작품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지 않고, 그 작품을 상세하게 기술한 북송대 진관(秦觀)의글만이 전하고 있다. 지온인본은 현재 남아있는 전 세계의 <오백나한도> 중에한 화면에 오백 분이 모두 묘사된 유일본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지온인본과 같이 한 폭으로 이루어진 오백나한의 도상은 숫자만이 정해진것일 뿐, 그 어떤 제작 기준이 있었는지 현재까지 알려진바 없다. 따라서 지온인본은 작품 평가에 앞서 화면에 펼쳐진 수많은 주제의 분류, 위계질서에 따른구성방식의 이해, 장면간의 선후관계 등 조형적인 고찰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지온인본의 조형분석은 한 폭에 그려진 <오백나한도>의 내용은 물론, 제작 의도나 감상 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가 되는 것으로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By the 14th century, the ‘Picture of 500 Arhats’ (Obaek-nahan-do, 五百羅漢圖) in the East Asia was unfolded in four different formats as follows: (1) a set of 100 paintings, such as the ‘Picture of 500 Arhats’ in the Daitoku-ji Temple (大德寺) in Japan, (2) a set of 50 paintings in the Engaku-ji Temple (圓覺寺), (3) a set of 500 paintings in each of which each Venerable One was drawn alone, and (4) a set where all 500 Arhats are drawn on one painting like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知恩院). As a picture where 500 Arhats were drawn in one painting, there was the work by Fa Neng (法能) in the middle of 11th century, not left presently, but only the writing of Qin Guan (秦觀)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which described the work in detail, was handed down. It can be told that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is the only one in which 500 Arhats are all depicted on one screen among all the ‘Picture of 500 Arhats’ over the world which were left today. Only the number of picture of 500 Arhats drawn in one painting, as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is set, whereas it has not been known as of now what the production standards were. Thus, prior to evaluating the version of the Chionin Temple,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it’s form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numerous subjects on the screen,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hierarchy, and the context between scenes. Therefore, the analysis of form of the Chionin Temple version is very meaningful as it provides the basis for preparing the production intention and standards for appreciation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Picture of 500 Arhats’ on a single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