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필사본 고소설의 연구와 감상은 텍스트의 정치한 분석에서 출발한다. 현전하는 「주봉전」 이본 82종 중 50종을 대상으로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해 선본(善 本)을 선정하고, 작품 유통의 성향과 이본 유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작품 규모와 서사담론 변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그중 원전 비평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34종을 입력했다. 이 결과, 서지 상태나 서사 담론의 완결성을 기준으로 이본 50종 중 5종을선본으로 선정했다. 그리고 장서각 33장본과 유사한 형태로 추정되는 「주봉전」 이 출현한 이후 19세기 말 이래 1930년대까지 여성들의 주도하에 농한기 때이본이 꾸준히 창작되었다. 이본들의 작품 분량은 국립중앙도서관 53장본이 최대이고, 글자수는 36,998자에 이른다. 작품 완결성을 전제로 최소 분량은 국립한글박물관의 32장본(한구0047)이나 34장본이다. 대략 17,000자이고, 원고지 120장 정도이다. 이본들 중 주로 1만 9천자 안팎의 작품들이 유통되었다. 이본 유형은 50종의 공통서사를 바탕으로 담론변이 양상을 탐색한 결과 세가지로 대별되었다. 첫째, 공통서사의 주요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공통서사 기본형’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의 14장본⋅23장본(기사년)⋅28장본 2종(무신년/임술년)⋅32장본(한구0047)⋅34장본⋅36장본(AR4346)⋅45장본⋅55장본, 율곡기념도서관의 25장본(신미년)⋅54장본(Y360331), 박순호 69장본, 하강진본 등이 있다. 둘째, 공통서사나 종결부를 대폭 첨삭한 ‘공통서사 확장형’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의 26장본⋅35장본(정유년)⋅70장본⋅40장본, 율곡기념도서관의54장본(Y345628)⋅30장본, 연세대 34장본, 장서각 35장본, 박순호 55장본, 강헌규본 등이 있다. 셋째, 이질적인 서사담론이 대거 반영된 ‘공통서사 변격형’ 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의 36장본(계사년)⋅58장본, 연세대 36장본, 장서각 33장본, 국립중앙도서관 53장본 등이 있다. 아울러 동일 유형에 속하는 이본 내의미세한 차이를 밝히고, 미완본이나 낙장본은 담론 특성에 따라 한 유형에 귀속함으로써 이본 계보를 따져보았다. 「주봉전」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본들의 실증적 문헌 분석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한편, 본고에서 다루지 않은 이본까지 포함해 역사적 흐름을 살피는 일은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study of a different version(異本) of ‘Joobong-jeon’ using a philological method. Of the 50 works making up the different version, 5 were selected as reliable version(善本). Additionally, women created works from 1851 to the 1930s. The maximum length was 36,998 characters, and on average, around 19,000 characters were distributed. Three types of works were found after exploring the patterns of discourse variation based on the common narratives of the 50 works. First, “the basic common narrative” maintains the main flow of the common narrative. Second, the “common narrative expansion type”has greatly corrected the common narrative or ending. Third, a “common narrative transformation type” largely reflects a heterogeneous narrative discourse. Even if a work belongs to one of the three types, it was further discussed as belonging to a subcategory of that typ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the narrative discourse. The study and appreciation of the ancient manuscript novels start with a political interpretation of the text. Examining the historical trend, including the original text, which was not covered in this paper, remains a future t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