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춘수는 시에서 관념과 대상, 그리고 이미지를 차례로 지워가며 무의미시에도달한다. 이는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이야기했듯 관념이나 이데올로기, 혹은역사의 폭력으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그보다는 관념과 대상, 그리고 이미지를 통해서만 사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우리의 사유 방식, 들뢰즈가‘재현적 사유’라 부른 것에 대한 회의와 도전이기도 하다. 들뢰즈는 감각의 논리에서 베이컨의 회화에 구현된 반재현의 실험을 주목한다. 그림을 그리기도전에 캔버스와 화가의 머릿속에 이미 자리잡고 있는 ‘구상적인 것’에서 출발하여우연적이고 돌발적인 손의 흔적들을 도입하는 것이 들뢰즈가 베이컨에게서 읽어낸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다. 이러한 방법과 절차는 김춘수가 무의미시를 발견해가는 과정과 통시적으로, 그리고 방법론적으로 유사하다. 본고는 김춘수의 무의미시론과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를 겹쳐 읽으면서 차이와 다자를 의미와 관념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시와 회화에서의 도전을 추적했다. 2장에서는 반재현의 출발점이자 토대로서 재현(관념-구상적인 것)에 대한 김춘수와 들뢰즈의 사유를 비교했고, 3장에서는 베이컨의 회화와 김춘수의 시작 과정을 비교하면서재현으로부터 벗어나는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4장에서는 김춘수가 성취한 반재현의 시들, 즉, 이미지 중심의 무의미시와 리듬 중심의 무의미시를이 갖는 의의와 효과를 가늠했다. 김춘수의 무의미시가 재현적 사유로는 포착할 수 없는 생생한 생의 감각, 정동, 리듬을 언어를 통해 활성화했다면, 베이컨은회화적 이미지를 통해 이와 동일한 일을 성취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Kim Chun-soo constructs “nonsense poetry” by erasing ideas, objects, and images in turn from poetry. This is not just to escape certain ideas, ideologies, or the ‘violence of history’, as many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Rather, the ultimate goal is the skepticism and challenge of what Deleuze calls ‘representative thinking’, that is, thinking and communicating only through ideas, concepts, and images. Deleuze pays attention to the experiment of anti-representation embodied in Bacon’s paintings in The Logic of Sensation. The concrete method and procedure Deleuze read from Bacon is to the introduction of the traces of accidental and unexpected hands, starting from canvas and present in the mind of the painter before painting.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are synchronically and methodologically similar to Kim Chun-soo’ construction of “nonsense poetry”. This paper traces the challenge of poems and paintings to restore differences and multitude from ‘representative thinking’ by over-reading Kim’s theory of nonsense poetry and Deleuze’s Logic of Sensation. In Chapter 2, I compare Kim Chun-soo and Deleuze’s thoughts on representation (ideology, the figurative) as the starting point and basis for anti-representation. In Chapter 3, I examine the way of escaping from representation by comparing Bacon’s paintings with Kim Chun-soo’s poetry. Finally, in Chapter 4, I compare how Kim Chun-soo Kim achieved the “nonsense poetry” - the meaningless poetry centered on the image and the meaningless poetry centered on the rhythm - to determine whether the anti-representation is achieved. While Kim Chun-soo’s “nonsense poetry” activates a vivid sense of life, ‘Sensation’, affection, and rhythm that cannot be captured by representational thought through language and image, Bacon achieves the same thing through pictorial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