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부당한 광고의 금지규정 위반행위에 대해 상당액의 벌금부과는 강력한 법집행과 행위억제를 목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우리의 경우 소비자단체가 부당한 광고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할 수 있지만, 사인에 의한 소송제기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부당한 광고로 취해진 사업상 이득이 그 피해자인 소비자에게 반환되는 법체계는 아니다. 소액의 과태료나 과징금도 공정거래위원회나 법원이 부당한 광고에 대해 소비자 1인당 혹은 1일당 벌금을 부과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위반행위 억제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고액의 벌금도 부당한 광고를 한 사업자의 법률위반 횟수와 상관없이 단지 한차례만 벌금이 부과되는데 그친다면 법적 억제효과가 불충분하다. 더불어 위반사업자가 고의나 과실이 없음을 들어 부과과징금을 감액하는 현재 과징금 부과기준은 엄격해야할 과징금 부과 규제망을 가볍게 회피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예외적인 경우에만 감액의 근거로 기능해야 할 것이다.


The imposition of a substantial fine for violating the prohibition of unfair advertising is very important for the purpose of strong law enforcement and deterrence. In our case, consumer organizations can report unfair advertisements to the Fair Trade Commission, but lawsuits by signing are not active, and it is not a legal system in which business gains taken from unfair advertisements are returned to the victims. Even a small fine or fine can be an effective means of controlling violations when the Fair Trade Commission or the court imposes per consumer or per day fines for unfair advertisements. Even large fines are fined only onc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mes a business violates the law by an unfair advertisement, and the legal deterrence effect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current penalty imposition standard, in which the violating business operator reduces the imposition penalty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intention or negligence, serves as the basis for the reduction in very exceptional cases, in that it serves as a basis for lightly avoiding the strict regulatory network. something to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