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초고령화 사회의 위험 불확실성 상황 속 고령자들의 빈곤 현황을 분석하고, 고령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이 그들의 빈곤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주관적 웰빙과 경제 상황 인식 그리고 객관적 노후 사회보장과 소득 수준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령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 개념은 소극적 네트워크 활동과 적극적 네트워크 활동으로 구분하여 측정이 이루어졌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적극적인 사회 네트워크 활동은 고령자의 행복감, 삶에 대한 만족도, 본인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 본인의 현재 경제적 상황이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정도 등을 나타내는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령자의 소극적 네트워크 활동은 본인의 현재 경제적 상황이 안정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도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자의 소극적 네트워크 활동과 적극적 네트워크 활동 모두 노후에 대한 경제적 준비 정도와 중병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경제력의 충분성 등과 같은 주관적 경제 상황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자의 소극적, 적극적 사회 네트워크 활동 모두 노후 사회보장과 고령자의 월평균 개인소득과 월평균 가구소득과 같은 객관적 소득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초고령화 사회의 위험 불확실성 상황 속에서 고령자의 주관적 측면과 객관적 측면에서의 빈곤 문제 완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령자들에게 일회성의 저임금 일자리 제공이나 직접적인 소득 보전정책과 같이 일시적・단기적・직접적・정부 주도적인 정책뿐만 아니라 고령자 스스로 빈곤 문제 해결에 능동적・적극적・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령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지원하는 장기적 정책을 추진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trend of senior poverty in a super-aged societ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ion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their poverty by focusing on subjective well-being and economic status, social security,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elderly. This study constructs a measure of associational activities which incorporates indicators of passive and active membership activities of the elderly. Results from OLS regression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which simultaneously control for factors that are theorized to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nd economic status, social security,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elderly at the individual level indicate that a positiv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association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economic status, social security,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 promotion program targeting elderly adults’ associational activities is a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elderly poverty in a super-age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