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인권의 주체로서 일선경찰관들이 조직 내부와 현장에서 겪는 인권 경험과 인권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많은 선행연구가 국민들의 인권보호자로서 경찰관의 역할과 의무를 중심에 두고 연구되었던 것과 차별점이 있다. 일선경찰관의 인권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고, 특수한 직무환경에서의 경험의 측면을 고려할 때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므로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일선경찰관들은 성과를 강조하는 문화와 경직된 조직 문화, 불분명한 업무 경계, 불합리한 지시 등으로 인해 조직 내/외부적으로 다양한 차별과 인권침해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일선경찰관들은 스트레스와 자괴감을 느끼면서도 눈치 보고 인내하며 버티는 전략을 주로 취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맥락들은 결국 일선경찰관으로 하여금‘나는 인권이 없는 사람이다’라는 인권박탈감을 느끼게 하고 있었다. 일선경찰관들은 국민의 인권보호라는 목표와 자신의 인권박탈감 사이의 현실적 괴리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경찰에게 요구되는 국민의 인권보호에 대한 각종 대책 속에서 일선경찰관의 인권에 대한 관리방안을 고려할 때 치안경쟁력의 확보도 가능할 것이다. 이 글은 정책적 대안으로 계량중심적 성과지표의 개선, 인권교육의 방법을 재검토, 심리적 차원의 지원강화, 절차적 정의의 공고화를 제시하였다.


It is clear that police officers are also the subject of human rights. This research studied the process in which street-level police officers' awareness of human rights was formed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the organization and in the field. Therefore,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ior research that centers on the role and duty of police officers as human rights protectors of the people. There is a lack of prior research on the human rights of street-level police officers, and there is a need for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ontext, considering the aspects of experience in a special working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grounded theor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Police officers experienced a variety of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police organization due to an emphasis on performance, a strict organizational culture, unclear work boundaries, and irrational instruct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police officers mostly take strategies to endure the pain, while feeling stress and shame. So in the end, police officers feel a sense of human rights deprivation: “I am a person without human rights.” The gap between the goal of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and their own sense of human rights is emerging for officers. In this study, improvement of quantitative performance indicators, review of human rights education methods, strengthened psychological support, and solidified procedural justice are proposed as improvement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