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우포늪을 방문한 생태관광객의 관광지의 사회적 책임(DSR) 인식을 바탕으로 시장세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생태관광지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사회적 책임 요인을 바탕으로 생태관광객의 인식 정도에 의해 세분화를 실시한 후, 인구통계적 특성과 관광행태적 특성에 대하여 세분시장 간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광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환경적 책임, 사회문화적 책임, 경제적 책임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세분시장(High DSR group, Medium DSR group, Low DSR group)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세분시장을 바탕으로 생태관광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관광행태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의 월평균 소득, 직업, 결혼여부)과 관광행태적 특성(정보원천, 동반자, 동반자 수, 우포늪 방문 횟수, 환경친화형 관광지 방문 경험)에서 세분시장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관광지 관리자들에게 생태관광지의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을 높이고, 관광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이를 인식시킴으로써 생태관광지를 지속가능하게 발전시키는데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gment ecotourists by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 (DSR) dimensions at the ecotourism destination of Upo wetland in Korea using two-step approach cluster analysis based on delineated DSR facto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segmented groups of DSR. To this end,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to ecotourists who had visited at Upo wetland between October 27 and November 10, 2018.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delineated three dimensions of DSR: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socio-cultural responsibility, and economic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mutually exclusive clusters (high DSR, medium DSR, and low DSR) based on their perception of DSR. These three seg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socio-demographic profile (gender, age, education, monthly household income, job, and marital status) and trip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ource, companion, number of companions, visit experience, and visit experience in environmentally friendly tourist sit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major findings are presented for tourism academia and practitioners in the conclusion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