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경기도 초등 및 중등학교 용 교과서「평화시대를 여는 통일 시민」에 대한 분석이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사용하여 매개, 연결,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분석했으며 분석 도구로는 R(4.0.1)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 중, 고등학교 교과서의 모두 중, 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평화·통일을 남북한 사이의 갈등 해결의 방법으로 소개한다. 그러나 초등학교의 경우 갈등해결의 주체로 친구, 모둠으로 구성된 우리를 강조하며 중, 고등학교에서는 사회와 연결된 우리를 강조한다. 또한 중,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평화·통일이 전쟁을 막을 수 있는 이미지와 함께 전달된다. 이때 '우리'의 정의가 분명치 않아 한국 시민에 속하나 한국 민족에 속하지 않은 배경을 가진 학생들은 평화·통일 논의에서 배제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고 평화와 안보 사이의 균형을 취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세계, 다문화, 비판적 시민성을 강조하며 경기도 지역에서 개발한 교과서에 걸맞게 지역 특색 및 지역사회의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Citizens in Unified Korea to Open the Era of Peace, in Gyeonggi Province. We analyzed these textbooks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betweenness, degree, and eigenvector centralities and bigrams of the words included in these textbooks. We found that all textbooks introduced peaceful Korean unification as a means to solve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However,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 is introduced in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peer groups.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we is introduced in the context of broader society. The definition of we is not clearly provided. Therefore, students who are not categorized into Korean ethnic groups might be excluded from discourses of Korean unification. To decrease the possibility that we is misused, social studies experts need to develop a peace–unification education aimed at students’ constructions of diverse citizenships. Moreover, textbooks developed by the Gyeonggi Provinc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at province, specifically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