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를 중심으로 포스트 휴먼이 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았다. 『완전사회』의 여인국이 겪는 위기는 자본 축적을 위해 주체에게 이분법적 사고를 학습시키고, 그들을 소비 주체로 만들어 버린 자본주의의 위험성을 상기시킨다. 이것은 체제의 부도덕함을 가리기 위해 과학기술을 동원하여 경제 만능주의를 유포시킨 박정희 정권의 통치방식에 대한 암시이다. 이를 간파하고 넘어서며 궁극적으로 포스트 휴먼이 되기 위한 매개로 『완전사회』에서 내세운 것이 바로 정동이다. 여인국은 신체와 신체가 만나는 성행위를 엄격히 금지함으로써 정동을 통제했다. 하지만 정동은 신체의 만남이라는 관계의 순간에 개입하여 고정화된 사고 회로를 허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근대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설 수 있는 잠재성이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완전사회』가 추구한 ‘인간 혁명’, 즉 포스트 휴먼이란 특정 정체성을 할당하고 강요하는 근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폭력성을 해소할 때 가능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ditions for becoming a post-human centered on the “Perfect Society” (1967) by Moon Yun-Sung. The crisis experienced by the women’s country of the “Perfect Society” makes the subjects learn the dichotomous thoughts for capital accumulation, and reminds them of the dangers of capitalism that made them consumers. This is an allusion to the regime of Park Chung-Hee, which disseminates the economic universalism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to cover the immorality of the system. It is the Affect that the “Perfect Society” provides as a medium to discover and overcome this and ultimately become a post-human. The women’s country controlled emotions by strictly prohibiting sexual encounters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However, the Affect has the possibility of scattering the circuit of fixed thinking through intervening in the moment of the relationship such as the encounter of the body. It has the potential to transcend modern dichotomous thinking. Thus, a post-human, the “human revolution” pursued by the “Perfect Society” is possible when the violence of the modern capitalist economic system that allocates and enforces a specific identity is resol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