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높은 사람들이 보이는 사회불안을 이해하고 돕기 위해 그들과 사회불안을 연결하는 중간기제로서 거절민감성의 매개 작용을 탐색하고, 치유 요인으로서 기질적 마음챙김이 이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교 재학생과 일반 성인 391명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 거절민감성 질문지(RSQ),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5요인 마음챙김 질문지(K-FFMQ)를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해서, 내현적 자기애가 높으면 거절에 대한 불안과 기대가 높아져서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거절민감성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기질적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되었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거절민감성이 증가되어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나, 이 때 마음챙김의 수준이 높으면 사회불안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완화됨이 시사되었다. 끝으로 마음챙김의 조절된 부분 매개효과가 갖는 임상적 시사점, 현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o understand and alleviate social anxiety (SA) experienced by covertly narcissistic people (CN), we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RS) as a possible mechanism and investigated whether dispositional mindfulness (DM) could moderate this mediating process. We administered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Five-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to 391 cyber university students and community adults through an online survey. RS was found to have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CN on SA.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via RS on SA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one’s DM, which thereby supported the assum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hen the level of DM was high, the adverse influence on SA through RS decreased.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