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srael’s victory against Egypt and Syria in the Six-Day War of June 1967 unleashed a surge of nationalist sentiment among the Jewish people living in the Soviet Union, leading to Moscow’s heavy persecution of its Jewish citizens which included placing heavy restrictions on their emigration to Israel. This in turn brought about the Leningrad Hijack Plot of June 1970, to which the Soviet authorities reacted harshly by initially sentencing the two main defendants to death. Consequently, prominent Jews and Jewish organisations in Britain, as well as renowned politicians and ordinary members of the British public, exerted pressure on the Edward Heath government to do more to alleviate the plight of Soviet Jews. Demands were made on the Heath administration to invoke international agreements such a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in order to corner the Soviet government into adhering to these agreements and guaranteeing the rights of its Jewish citizens. The Heath administration refused to do this on the official basis that the British government had no locus standi to interfere, that the Soviets had either abstained when voting in the United Nations had taken place on the aforementioned agreements or had yet to ratify them, and that the British government had no power to compel the Soviet government to complying since Moscow did not recognise the authority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But the Heath government’s reluctance to act in reality stemmed from the fact that by taking action Britain would open itself to accusations of blatant hypocrisy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ritain at the time was in violation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such as the UN Declaration on the Granting of Independence to Colonial Countries and Peoples, had resumed selling arms to John Vorster’s apartheid South Africa, was attempting to seek a deal with Ian Smith’s Rhodesia and, most crucially of all, had sent in troops into Northern Ireland to deal with the escalating violence in the province.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이집트와 시리아를 꺾고 승리함에 따라 소련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의 민족주의적 감정이 고조되자, 소련 정부는 자국 내 유대인들의 이스라엘 이민을 과도하게 통제하는 등 유대인들에 대한 탄압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에 대한 반발로 1970년 6월에 레닌그라드 공중납치 음모 사건이 발생하자 소련 당국은 주모자 두 명에게 사형을 언도하는 등 강력하게 대응하였다. 이러한 소련 정부의 행동에 크게 분노한 영국 내의 주요 유대계 인사들과 유대계 조직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까지 소련의 유대인 탄압 중지를 위해 에드워드 히스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행동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세계 인권 선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인종 차별 철폐 협약 등의 조약들을 준수하고 유대인들의 인권을 존중하라고 소련 당국을 압박할 것을 주문하는 요구가 빗발쳤다. 그러나 히스 정부는 타국에서 발생하는 타국 시민의 문제에 대해 영국이 개입할 수 있는 ‘당사자 적격’을 갖고 있지 않고, 제시된 조약들에 대해 소련이 유엔에서 기권표를 행사하거나 아직 비준을 하지 않았으며, 소련이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을 인정하지 않았으므로 영국이 소련을 제소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소련의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소련을 압박하기를 공식적으로 거부하였다. 하지만 히스 정부가 소련에 대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기를 꺼려했던 실제 이유는 영국의 외교적 위선에 대한 국제 사회의 비난을 피하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영국 또한 그 당시에 식민지 국가 및 민족에 대한 독립 부여 선언이라는 국제 협약을 위반하고 있었고, 인종차별 정책을 시행하던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에게 무기를 판매하기로 하였으며, 로디지아의 소수 백인 정권과의 협력을 꾀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북아일랜드 소요 사태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하여 자국민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는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