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신명기 22장 13-29절의 본문 연구를 통해, 한국 교회의 성윤리를 높이고 성범죄를 심각한 범죄로 보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본문에 대한 자세한 읽기를 통해 내용파악을 하고 이 내용을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서 해석한다. 둘째, 이 본문에 대한 언약 신학적 해석의 근거와 문제점을 지적한다. 셋째, 이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교회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한다. 1장은 이 논문의 연구 목적, 연구 방법을 서술한다. 2장에서는 신명기 22장 13-29절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것을 찾아내었다. 첫째, 여성의 성은 남성들에 의해 철저히 통제되고 있다. 둘째, 여성의 처녀성은 아버지의 권위와 경제적 면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다. 셋째, 결혼은 일종의 거래로 여성의 처녀성이 가장 중요한 거래 품목이었다. 넷째, 결혼 혹은 약혼한 여성과의 성관계는 여성의 남편의 권리를 침해이다. 다섯째, 여성의 혼외 성관계는 공동체에서 제거해야 할 악으로 여겨졌다. 여섯째, 남성의 경우 처녀와의 성관계는 화간이든 성폭행이든 범죄로 보지 않았다. 일곱째, 남성의 성은 통제 대상이 아니다.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신명기가 여성의 인격과 여성의 성을 독립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남성에게 종속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고대 근동의 가부장제 사회의 문화와 제도를 상당히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3장에서 나는 이 본문에 대한 언약 신학적 해석의 근거로 호세아서와 말라기 2장 10-15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언약 신학적 해석의 한계로는 모든 여성의 성을 언약과 연결시킨다는 것과 오직 여성의 순결만 언약과 연결시킨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언약 신학적 해석이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이데올로기를 강화시켰다는 것을 드러냈다. 4장에서는 현대적 적용을 위한 제언을 세 가지 제시된다. 첫째, 구약과 현대 여성의 지위와 독립성의 차이를 인식하는 것이다. 둘째, 결혼 관계 속에서 남편과 아내의 동등성과 배타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셋째, 여성의 성적 자기 결정권에 대한 침해를 심각한 범죄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hance the sex ethics of the Korean church and regard sex crimes as serious through a study on the text of Deuteronomy 22:13-29.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rough a close reading of the text its content is perceived and in light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 its interpretation is done. Second, the basis and problems of the covenant-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is text are pointed out.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their practical application to today’s church are made.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was presented. In chapter 2, through the study of Deuteronomy 22:13-29 some insights were found. First, women’s sex was strictly controlled by men. Second, the virginity of women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father’s authority and economy. Third, marriage was a kind of transaction, and female virginity was the most important transaction item. Fourth, sexual intercourse with a married or engaged woman is an infringement of her husband’s rights. Fifth, women’s extramarital sex was considered an evil to be eliminated from the community. Sixth, in the case of men, sexual intercourse with a virgin was not considered a crime, whether it was a consensual sex or a sexual assault. Seventh, male sex was not subject to control. What was found from this study is that Deuteronomy considerably reflects the culture and system of the patriarchal society in ancient Near East, which does not independently recognize women’s personality and sex but thinks they are subordinate to men. In chapter 3, the Book of Hosea and Malachi 2:10-15 are suggested as the basis for the covenant-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Deuteronomy 22:13-29. An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limitations of the covenant-theological interpretation are to connect all women’s sex to the covenant, and that only the chastity of women. In chapter 4, three suggestions for modern application are made. First, the differences of the status and independence between women in the Old Testament times and modern times are to be acknowledged. Second, the equality and exclusivity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in a marriage relationship need to be recognized. Third, the violation of women’s 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should be viewed as a serious cr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