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 양육역량,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및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에서 실시한 학부모교육참여패널조사의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 16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양육역량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취업모의 일-자녀교육 갈등이 높을수록 스스로의 양육역량을 낮게 평가하며, 양육역량이 낮을수록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의 감소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아동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취업모의 양육역량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들이 지각하는 일-자녀교육 갈등이 양육역량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과 같은 심리․정서적 양육 요인을 통해 아동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competence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others’ work and chil-education conflic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Data on 163 working mothers having a child in the second grade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Parent Educational Involvement (PSKPEI) in 2018 were analyzed. Our main findings illustrated that while the work and child-education conflict of working mothers had not shown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parenting competence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In other words, when working mothers have high levels of work and child-education conflict, they tend to have lower levels of parenting competence, but when they have higher levels of parenting competence, they tend to have higher levels of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in turn, leading to better school adjustment by their children.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working mothers’ psycho-emotional parenting factors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y placing emphasis on parenting competence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