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상담을 거부하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 자녀의 문제에 대한 가족치료에서의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당사자를 제외한 나머지 가족들이 참여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상담사례를 수집하여 치료 개입전략과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 16회기로 구성된 가족상담 과정에서 가족들이 진술한 내용에 의미 단위를 구분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한 결과, 상담자는 대상관계 모델, Bowen 모델, 이마고 대화법, MRI의 의사소통 모델을 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미해결된 정서 문제로 인한 역기능적인 대처방식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개입 효과로는 인지적 자각을 통한 관점 전환(모), 의사소통방식의 변화(부모), 자기 개방성 향상(모, IP), 남편과 정서적 거리 좁히기(모), 감정 반사적 반응 감소(부모), 가족들과의 상호작용 향상(IP), 병리적 증상 완화(IP, 둘째 딸), 정서적 안정감 회복(둘째 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 당사자의 상담 거부시 다른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가족치료 개입을 통한 가족구성원 개인의 변화, 부부관계 개선은 청소년기 은둔형 외톨이 자녀의 문제를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본연구는 그에 필요한 적절한 치료 개입 전략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effective engagement strategies for family therapy to treat problems of reclusive adolescents who refuse counseling. For the research, family members, except for the person concerned, participated, and the study attemp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reatment engagement strategies and their effectiveness by collecting counseling cases that contain successful results. From total 16 sessions of family therapy, family members’ statements were categorized by semetic meanings and drew significant research outcom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herapist could improve dysfunctional strategies due to unresolved emotional issues by synthetically applying object relations theory, Bowen’s family system theory, the Imago Dialogue, and Mental Research Institute (MRI)’s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effects of intervention were the following: a change in perspective through cognitive realization (mother), a change in the mode of communication (parents), an improvement in self-disclosure (mother, IP), a decreased emotional gap with the husband (mother), diminishing emotionally reflective reactions (parents), an improvement in family interactions (IP), alleviated pathological symptoms (IP, second daughter), and advances in emotional stability (second daughter). It is manifested through the case study that if a hikikomori child refuses therapy, then a family therapy intervention involving the rest of the family can cause an individual change of the family members and a couple’s relationship enrichment to alleviate the problems of hikikomori children; and the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necessary and appropriate treatment intervention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of hikikomori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