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앞두고 삶의 근간의 변화(fundamental change)가 예상되는 가운데, 타인과 접촉하지 않는 뉴노멀(New Normal)현상이 안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사회는 비대면이나 비접촉 방식의 요구가 일상화될 것이며, 1인 가족 형태에 기반한 개인주의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진단된다. 동시에 강화된 개인주의적 태도는 개인의 이기주의적 태도를 더욱 부추기게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토머스 홉스는 인간의 자연상태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라고 언급하였으며, 데이비드 흄은 인간이 사적 이익을 위해서만 행동한다는 사익 추구의 공리(an axiom of self-interest)를 본성으로 갖는다고 가정한 바 있다. 이러한 주장들은 현대에 이르러, 진화론자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selfish genes)”개념으로 발전함에 따라 오늘날 학자들은 개체적 이기성의 특질을 유전자 단위에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인간의 이기적 본성의 강화는 곧 이 사회의 통합을 저해하고, 타자와의 공감을 약화하는 결과를 낳을지도 모른다. 다른 한편 현대사회는 종교적 권위나 왕권과 같은 집중화된 권력에 기반한 운명공동체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개인의 자기표현이 일상적인 시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 사회에 요청되는 것은 개인주의적 시대에 가질 수 있는 친사회성과 이타성의 근거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전통적인 형식을 벗어나서 발현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인간이 가진 친사회성(prosociality)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데이비드 슬론 윌슨(David Sloan Wilson)의 ‘집단선택(group selection)가설’과 매튜 리버만(Matthew D. Lieberman)의 뇌의 ‘사회적’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두 학자의 입장은 개인의 이기성이 자신이 속한 집단으로 확장된다면 집단을 위한 개인의 지향적 행위를 설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기희생적인 이타적 행위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친사회적 행위의 대표적 현상으로 ‘공감’을 들 수 있으며, 이 공감을 종교적 주제와 연관하여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연관은 유전학자 딘 해머(Dean H. Hamer)의 이론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타자와 공감을 가능하게 만드는 개인의 자기초월적 일체감이 유전자적 근거를 갖는다고 주장하면서, 개인의 영성(spirituality)이 유전자의 기능(God gene)과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 글의 전체적인 구도는 전통적인 공동체주의와 고립적 개인주의 사이에서 친사회성이 개인과 어떤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한 관심은 인간의 친사회성(이타성)에 관한 신경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그 근거를 통해서 공감과 영성(spirituality)을 중심으로 종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인 의의를 환기하고자 한다.


The new-normal life in the time of Coronavirus is steadily settling down into a routine accompanied with long-term and fundamental changes to social patterns. Due to the fact that people have a tendency to minimize close contact with others in the aftermath of the quarantine system, the selfish attitude of man can be strongly reinforced in all walks of life. In this precarious situation empathy will be a key concept to strengthen prosocial behaviors. On one hand, from David Hume’s axiom of self-interest to the selfish gene theory of natural selection by Richard Dawkins, selfishness is regarded as a reasonable virtue in the contemporary era. Newly discovered results based on neuro-scientific research on altruistic motives reveal the innate nature of prosociality of man on the other hand. Three neuro-scientific results show us legitimate examples of that; the mind-reading ability of the brain, a function of the ventromedial profrontal cortex, and oxytocin hormone as neuropeptide. They offer scientific grounds totally different from our conventional ideas of human ethics. According to Matthew Lieberman and David Sloan Wilson, these new grounds could become an empirical foundation of prosocial behavior and group selection. In this regard, we have to pay sharp attention to the idea that natural selection acts at the level of the group instead of the level of the individual, since this idea unravels how altruistic behaviors could be empirically possible without any help from conventional methodology. In this regard, empathy, with a few empirical ground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understanding others and the world in which they belong. Dean Hamer, author of The God Gene, sheds new light on the interface of neuroscience and religious studies. Taking religious experience into a great consideration, he tries making the concept of empathy blur the line between neuroscience and spirituality in order to build a bridge between two discrete fields. Under the influence of newly adapted research, I will putatively construe that religiosity, or spirituality revitalized with the help of new approaches on empathetic nature, will stimulate prosocial behaviors at the level of individual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ommunities for extant rituals where people usually congregate in an obsolete way. Ultimately development of spiritual instinct with empathy-induced altruism will contribute to a social equilibrium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