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일정한 속력을 포함하는 대수 문장제의 해결에서 구성하는 양들 사이의 관계를 Thompson이 제안한 ‘양’의 관점에서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어진 상황에서 양들 사이의 관계를 풍부하게 구성하는 것은 상황을 역동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상황을 식으로 일반화하거나 해석하는 행위를 포함한 문제해결의 전 과정뿐만 아니라 서로의 풀이과정을 공유하고 이해하는데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관점에서 상황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들이 주어진 상황에서 구성하는 양들 사이의 관계가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구분하는 하나의 준거가 될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 간의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among two middle school students emerging through the process of algebra word problem solving from the quantitative reasoning perspective. As a result, students' quantitative reasoning influence understanding of situations, generalizing or interpreting situations, and sharing their thoughts. These results suggest information on tasks that can solve various methods, and one criterion for diagnosing learning levels according to aspects of solving tasks. It also suggests that communication difficulties may arise due to differences in quantitative reasoning in algebra teaching-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