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K대학이 시행한 신입생 대상 교수와의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대학의 교수·학습성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NASEL)를 활용하여 학습 경험 변인과 교수·학습 성과 변인을 측정하고, K대학의 학사데이터를 연동하여 총 83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교수와의 상호작용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과 및 대학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관련 상호작용과 그 외 상호작용, 대학 소속감에 대하여 1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진로관련 상호작용, 학과 및 대학 소속감이 다소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자체는 직접적으로 학과 및 대학 소속감 변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호작용변인군이 투입되었을 때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내에서 만족스러운 진로상담과 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신입생들의 학과 및 대학 소속감과 같은 정의적 성과가 간접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논의가 부족한 연구 환경에서 개별 대학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with faculty for freshmen conducted by K University in terms of the university's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33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linking the academic information of K University after measuring the variables of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outcomes us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 Specifically,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teraction with faculty based on program particip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program participation affects the sense of belonging to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facult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eshmen perceived career-related interactions, other interactions, and sense of belonging at university at a little higher level compared to other grades. In addition, program participants had a little higher perception of career-related interaction,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 and university than non-participants. Seco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tself did not directly affected the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variables, but it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when the interaction variable group was deploy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 be indirectly enhanced to the affective achievement and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when interactions with faculty, such as satisfactory career counseling, are made within the program.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conducted at individual university in research environments where there is insufficient methodological discussion of whether programs can promote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