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요한일서 3:9의 ‘그의 씨’(spe,rma auvtou/)가 무엇을 가리키는지에 관해서는 아직도 학자들 간에 합의된 바(consensus)가 없다. 크게 보면, ‘그의 씨’가 ‘하나님의 자녀들’을 의미할 수 있고, 혹은 ‘하나님의 씨’로서 중생한 신자 안에 거하는 어떤 신적 능력을 가릴 수 있는데, 두 경우 모두 확정적이지 않다. 어쩌면 ‘그의 씨’라는 표현 자체가 은유적이기 때문에 그 지칭하는 바를 정확히 규정할 수 없다는 견해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논문은, ‘그의 씨’가 ‘하나님의 자녀들’을 의미한다는 견해의 타당성에 대해 문법적, 구문론적으로 그리고 용어의 배경 등을 근거로 반론을 제기한다. 동시에, 요한일서 3:9의 ‘그의 씨’가 야고보서 1:21의 ‘심긴 말씀’(e;mfuton lo,gon)과 베드로전서 1:23의 ‘썩지 아니하는 씨’(spora/j avfqa,rtou)와 맥을 같이 하는, ‘중생과 말씀’에 관한 공동서신의 전통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결정적인 근거는 야고보서 1:21와 베드로전서 1:23이 모두 새 언약 특히 예레미야 31:33의 성취를 그 배경으로 갖고 있다는 점이며, 중생한 신자 안에 ‘내주하는 말씀’에 관한 공동서신의 새 언약 성취의 패턴은 ‘그의 씨’의 경우에도 타당함을 논증한다. 더 나아가, 요한일서 3:9의 ‘그의 씨’는 9절 자체의 문맥이나 인접 문맥에서 모두 중생과 성화의 핵심적 원리로 제시되는 바, 이런 신학적 구조는 새 언약의 비전, 즉, 성령의 내주(겔 36:26-27)와 함께 ‘마음에 기록된 말씀’(렘 31:33)을 통해 ‘말씀을 순종하는 새 백성’(겔 36:27, 37:24; 렘 31:33)의 창조라는 패턴을 체계적으로 반영한다는 사실도 밝혀낸다. 이런 점에서, 요한일서 3:9의 ‘하나님의 자녀는 죄 지을 수 없고, 죄 지을 능력도 없다’는 난제 역시 새 언약 성취의 ‘이미’와 ‘아직’의 긴장이라는 틀 안에서 균형 있게 설명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요한일서 3:9의 ‘그의 씨’의 의미가 새 언약 성취라는 해석적 틀 안에서 이해될 때, 요한일서에서 자주 반복되는 ‘속죄, 내주하는 말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일관된 패턴뿐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와 세상의 대립’이라는 이원론적 구조 역시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설명될 길을 얻는다. 따라서 요한일서 3:9의 ‘그의 씨’는 성령의 역사로 마음에 심겨진 말씀으로 특정(特定)할 수 있고, 이는 단지 요한일서 3:9만이 아니라 야고보서 1:21와 베드로전서 1:23을 포함하는 중생과 성화의 핵심적인 원리로서, 특히 세상을 맞닥뜨린 교회를 향해 ‘말씀의 내주’를 강조하는 공동서신의 전통임이 밝혀진다.


The precise meaning of spe,rma auvtou in 1 John 3:9 has not yet reached at an acceptable consensus among the scholars. Roughly speaking, there are some basic options: first, spe,rma auvtou refers to ‘the children of God’; second, it denotes something like divine power remaining in the regenerated believers; otherwise, the phrase is so metaphorical that any specific referent may not be required. Yet this article refutes the validity of the first option, namely, it refers to ‘the children of God’ by articulating some grammatical and syntactical elements of v.9 including its lexical backgrounds as well. At the same time, I suggest that spe,rma auvtou in 1 John 3:9 reflects the tradition of the Catholic Epistles as regard to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regeneration of the believers’ and ‘the indwelling word of God’ as manifested in e;mfuton lo,gon of James 1:21 and spora/j avfqa,rtou of 1 Peter 1:23 as well. Critical is the element that all these three texts share the common theme of the fulfillment of new covenant for their unique expressions of the indwelling God’s word in the new covenant people of God. Further, 1 John 3:9 along with its near and far contexts presents spe,rma auvtou as the integral principle for both of the believers’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This contextual and theological nexus of spe,rma auvtou can b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explained in terms of the fulfillment of the new covenant, such as ‘the law written in the heart’(Jer 31:33), ‘the indwelling Spirit of God’(Ezek 36:26-27), ‘new people of God obeying the God’s law’(Ezek 36:27; 37:24; Jer 31:33). In light of this, the another puzzling expression of 1 John 3:9, that is, ‘the children of God do not sin and are not able to do it’ can also be understood in terms of both of the ‘already’ and ‘not yet’ aspects of the fulfillment of ‘the indwelling God’s word’ of the new covenant. In addition, the new covenant fulfillment pattern of spe,rma auvtou is further ratified by the repeated chain of motifs such as ‘the attornment, indwelling word, and the knowledge of God’ as part of the new covenant theme, and also by the dualistic structure set up between the children of God and the world as well. Conclusively, spe,rma auvtou of 1 John 3:9 can be and should be specified as ‘the indwelling word of God wrought by the Holy Spirit’ according to the promises of the new covenant. Above all, this confirms another evidence pointing towards the Catholic Epistles’ tendency to depict the rebirth of the eschatological new people of God particularly by the terms of the indwelling of the word of God that overcomes the ko,smo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