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와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상 대화를 분석하여 외국인 주민의 한국어 조사 사용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조사는 한국어의 첨가어적인 특징이 잘 나타나 외국인 화자들이 많이 어려워한다. 특히, 외국인 주민들에게서 부사격 조사를 사용할 때 많은 오류가 확인되었다. 부사격 조사 중에서도 높은 빈도로 쓰이는 ‘에. 에서. (이)랑, 에게/한테, (으)로’의 의미별 오류 양상과 그 빈도수를 확인하였는데, 같은 형태의 부사격 조사여도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을 때 오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에’의 사용빈도와 오류빈도는 ‘시간>진행 방향>처소>목적>기준’ 순으로 나타났다. ‘에서’는 사용빈도와 오류빈도가 ‘처소>출발점’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랑’도 사용빈도와 오류빈도가 ‘함께 하거나 상대로 하는 대상>비교의 기준’의 순서로 같았다. ‘에게/한테’ 또한 사용빈도와 오류빈도가 동일했고 ‘행동이 미치는 대상>행동을 일으키는 대상’의 순이었다. ‘(으)로’는 ‘움직임의 방향, 수단/도구, 방법/방식’의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오류가 나타나지 않아서 외국인 주민들에게 어렵지 않은 부사격 조사로 확인되었다. 선행 연구(한상미 2014a, 전영옥 2011)자료와 비교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외국인 주민의 오류율이 선행 연구의 중급 학습자의 오류율보다 2.3배 높게 나타났고, 본 연구의 여성결혼이민자 구어의 오류율이 선행 연구의 여성결혼이민자 문어의 오류율보다 2.3배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선행 연구의 여성결혼이민자와 중급 학습자보다 본 연구의 외국인 주민의 부사격 조사 사용에 대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오류는 대치 오류, 생략 오류가 주를 이루었고 첨가 오류, 형태 오류는 적게 나타났다. 특히 대치 오류에서는 ‘에↔에서’의 대치가 많았고, 생략 오류로 ‘에, 에서, (이)랑’이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오류 양상을 보고 수치화하여 외국인 주민들에게 높은 오류율을 보이는 부사격 조사의 교육을 제안하였다.


We analyzed daily conversations among foreign workers and foreign married migrants living in South Korea and studied the use of Korean particles by foreign residents. Particles in Korean often show characteristics of an affixing language, making it difficult to use for foreign speakers. In particular, many errors were found in the use of Adverbial case particles by foreign residents. We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and error type for each meaning of ‘에’, ‘에서’, ‘(이)랑’, ‘에게/한테’, and ‘(으)로’. As a results, even the same adverbial case particles show different of the type of errors when they had different meanings. The frequency of use for “에” was found in the order of ‘time> direction > location > purpose > standard’. Also, error frequency was in the order of ‘time> direction > location > purpose > standard’. In ‘에서’, the frequency of use and error frequency were the same in the order of ‘location > starting point’. In ’(이)랑‘, the frequency of use and frequency of error were the same in the order of ’indicating the other party in conversations > criteria for comparison’. Adverbial case particles ’에게/한테’ also had same frequency of use and frequency of error, in the order of ‘objects affected by actions > objects that cause actions'. Since no error could be found in the adverbial case particles ‘(으)로’, it is considered a adverbial case particle that is easy to use for foreign residents.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 error rate of foreign residents in this study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intermediate learners in previous study. The error rate of the spoken language of marriage migrant females in this study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written language of marriage migrant females in previous study. as a results, the error rate of foreign residents' use of adverbial case p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marriage migrant females or intermediate learners. In conclusion, the most of errors in this study were replacement errors and omission errors. The addition errors and form errors were observed lower.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of the substitution with '에/에서' in the case of replacement errors. Also, ‘에’, ‘에서’, and ’(이)랑' were confirmed in the case of omission errors. Based on our investigation of the types of errors, we propose that education for adverbial case particles with high error rates to foreign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