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밀레니얼 세대가 제품구매의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하기 시작하면서 가전제품은 새로운 전환점을맞이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대중적 트렌트를 참고하면서도 개인의 취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한다. 이로 인해 제조사는 핵심모델 중심의 “소품종대량생산”에서 다양한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다품종 맞춤 생산” 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적 특색이 강하고,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야하는 냉장고 디자인은 이러한 융복합적인 환경을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체계적인 아이디어 발상과 문제해결을 위해 참고할 디자인 방법론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명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TRIZ와 조형요소의 연관성을 논리적으로 파악하고 해석하여 향 후 진행될 냉장고 디자인 개발에근간이 되는 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현시점에서 가장 핵심적인 냉장고 플랫폼을 중심으로 6가지 조형 요소를 추출하고, TRIZ의40가지 원리 중 연계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8가지 원리를 가설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원리들이적용된 디자인 사례를 발굴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처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냉장고 조형 요소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은 8가지 원리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분할”, “비대칭” 원리는 전면 도어의 비례, 구성과 연계성이 높았다. “과부족 조치”, “피드백” 원리는 홈바의 크기와 인터랙션에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추출” 원리는 디스펜서의 주요 기능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통합”과 “구형화” 원리는 핸들의 형태나 위치와 관계가 있었으며, “차원 바꾸기” 원리는 캐비닛의 깊이와 연계성이 높았다. 향후 본 연구를 활용하여 냉장고 디자인이 보다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With the recent millennials starting to play an important role, the home appliance industry is facing a new turning point. For millennials, tast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Manufacturers are changing from “mass production of small items” to “customized production of many kinds". Therefore, a refrigerator design requires a more logical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is fusion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design methodologies to refer to for problem solving.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logically grasp the r elationship between TRIZ and the formative element s of the design. So,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frigerator designs. At this point, six formative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essential refrigerator platform, and eight principles that were judged to have high connection with the TRIZ principle were hypothetically selected. After that, design cases were discovered and verified. Finally derived eight principle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sign. As a result, the principle of "segmentation" and "asymmetry" showed high connection with proportion and composition. The "partial or excessive action" and "feedback" principl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home-bar and the interaction, and the "extracting" principle was correlated with the dispenser. The principles of "consolidation" and "spheroidality" were related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andle, and the principle of "transition into a new dimension" had high connection with the depth of the cab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