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현장 기반 실체이론 생성이라는 근거이론적 방법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이 어떻게 활용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근거이론 논문에서 패러다임 모형이 활용되고 있는 실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해외에서 출간된 논문들과 비교해 보았다. 패러다임 모형의 각 요소에 개방 코딩한 결과를 기계적으로 배분하고 이에 따라 스토리를 제시하는 국내 논문들과는 달리, 해외 논문들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 단순히 구속되지 않고 연구자가 발견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연구자들은 교육학 분야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발전적 활용을 위해서는 (1) 특정 현상을 연구하는 소규모 연구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6개 요소를 다 설명해야 하는 강박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2) 교육학 연구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서 제시된 ‘맥락’의 의미를 근거이론이 태동한 간호학 분야와는 다른 방식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3)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을 납득할 만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보다는, 명확하지 않은 경우 굳이 각각의 조건으로 구분하려는 강박 관념을 버리는 것이 낫다; (4) 어느 정도 완결된 근거이론, 즉 이론적 통합에까지 이르는 ‘근거이론’은 개인이 수행하는 소규모 단일 연구에서 도출하기는 어렵다 라는 네 가지 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roper directions on how the paradigm model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should be applied in the perspective of grounded theory approach which emphasizes substantive theory generating based on the ground. To do this, we critically reflected on the actual conditions where the paradigm model is being used, exploring grounded theory papers published in Korea and compared what we found with those published overseas. Unlike domestic papers that mechanically distributed open󰠏coded results to each element of the paradigm model and presented the story accordingly, overseas papers tended to present research results based on what researchers had found rather than simply being bound to the paradigm model. On that basis,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following four things should be kept in mind for progressive utilization of the paradigm model in educational studies. (1) It should be free from the obsession of explaining all 6 elements of the paradigm model in a small scale study of a particular phenomenon; (2) In education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context’ presented in the paradigm model differently from the field of nursing in which the grounded theory was born; (3) It is better not to be obsessed with distinguish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ing conditions from one another when convincing reasons are not given. (4) The ‘grounded theory’ related to theoretical integration is difficult to be derived from a single small scale study conducted by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