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년 후기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 의미추구, 의미발견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삶의 의미의 하위 차원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부모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부모애착과 의미추구 간의 관계가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부모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지, 또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이중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3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v.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의미추구, 의미발견,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는 매개효과가 없으나, 의미발견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이중매개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ere 372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MLQ),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 bootstrapping method that is known to be a more accurate mediation method than the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mple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of parental attachment, search for meaning, presence of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all positive and significant.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partially-mediated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the search for meaning did not. Third,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on subjective well-being had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t implied that the search for meaning could be led to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