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갈등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놀이성을 통한 또래 놀이방해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PSKC)의 2차부터 7차까지의 종단 자료를 활용해 SPSS Macro(PROCESS; Hayes, 2013)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주 효과는 유의하였고, 이는 놀이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갈등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 놀이방해 행동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 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 놀이방해 행동의 매개 효과는 놀이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또래 놀이방해 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관한 구체적 개입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놀이성의 발달은 성장과 변화를 위한 아동의 능력에 대한 보호요인인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er play disruption behaviors by playfulness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of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the present study, 6-year longitudinal data being collected by 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since 2009 were used and the data from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PROCESS; Hayes, 2012). This is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ain effect of marital confli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it was not moderated by the level of playfulness.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s mediated by peer play disruption behavior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play disruption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ad a meaningful moderated mediating effect depending on the level of playful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specific interventions in peer play disruption behaviors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playfulness is a protective factor for children's ability to grow and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