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디자인 아카이빙(Design archiving) 이슈가 담론화되는 시점을 배경으로 한다. 2011년부터 디자인 아카이브 구축 연구가 진행되었고, 같은 해에 세종시의 국립디자인박물관 건립이 계획되었다. 그러나이러한 계획 마련과는 달리, 디자인 콘텐츠 확보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무엇을 어떻게 넣을 것인지 고려되지 않은 채로 건물 짓기를 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전문적인 아카이빙 영역을 구축하는데 기반을 마련하고자한다. 특정 분야의 아카이빙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록학에 의존하여 연구를 전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록학에 의존하는 패러다임을 탈피하고 디자인의 특성, 디자인 기록물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설정하고그에 적합한 방법을 활용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토대로 포스트 메모리 개념과 기록의 이유, 그리고 디자인기록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둘째, 기관조사를 통해 대중에게 디자인이 어떠한 관점으로 소개되고 있는지살펴보았다. 또한, 디자인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문화·예술, 건축, 미술 분야의 아카이빙 사례를 조사했다. 셋째, 디자인 유사 분야의 아카이빙 사례를 비교· - 468 - 분석하여 디자인 아카이빙 개념 정립에 필요한 방향성을 도출했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디자인 아카이빙 또한문화·예술, 건축, 미술 분야와 같이 독자적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 아래에 디자인을 대상화하는 시각 또한 변화해야 한다. 국가적 행사나 기업의 성과로만 존재하던 디자인은 창작이자 일상과 사회를 반영한 산물로 인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동시대에서 디자인이라는 장르의특성과 대중의 일상·사회성을 반영한 디자인 아카이빙 개념이 고착되고, 디자인을 대하는 관점과 태도가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set at the time when design archiving issues are discussed.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design archives has been conducted since 2011,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Design Museum in Sejong City was planned in the same year. However, contrary to these plans, there are voices of concern about securing design content. They do not consider what to put in and how to build a building. In this context,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 professional archive area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establish an archive system in a particular area, it is common to develop research dependent on recordology. However, in this study, we want to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relying on recordology and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the specificity of design records. Three main topics were set as methods of study and the appropriate methods were used.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we looked into the post-memory concept and the reason for the record, and the meaning of the design record. Second, through an institutional survey, we looked at how design is being introduced to the public. In addition, the archive cases in the fields of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art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design were investigated. Thi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archiving cases in design-like fields, the direction need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esign archiving wa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design archiving should also be able to secure its own areas such as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art. The perspective of targeting the design below this objective should also change. Designs that existed only as national events or corporate achievements should be recognized as creations and products that reflect everyday life and societ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design archiving,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design in the contemporary era and the daily and social nature of the public, needs to be entrenched, and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design need to be chan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