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직원열의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로 인한 급격한 비대면 업무방식의 확대로 구성원들이 과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자기효능감을 발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직원열의를 강화할 수 있는 선행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잡크래프팅이 직원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팀장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 직원열의, 잡크래프팅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확인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잡크래프팅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잡크래프팅과 직원열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업 A사의 260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온라인)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은 직원열의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은 잡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크래프팅은 직원열의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장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원열의의 관계를 잡크래프팅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n increase employee engagement in the post-coronavirus new normal era.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non-contact working environments due to the Coronaviru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preceding factors that can reinforce employee engagement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for memb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asks or demonstrate self-efficac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crafting on employee engagement. Furthermore, it aimed to verify through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employee engagement and job crafting.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260 employees of a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y named 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irst found that the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crafting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craft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m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ir significance,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