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에 대한 태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고, 공무원들의 계급 및 그들이 속한 조직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서 그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공정성의 주요 두가지 차원인 절차 및 분배공정성에 대한 인식 중 절차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과 더 강한 긍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차공정성이 공무원의 직무만족 또는 조직지향적 행위와 가지는 긍정적 관계는 계급이 낮을수록, 또한 공무원이 속한 조직문화가 통제시스템을 강조하는 문화일수록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권한, 권위, 자율성 등의 자원을 상대적으로 적게 가지고 있는 공무원 집단일수록 절차공정성 보장의 효과가 더 강하게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공공조직 내에서 공정성 담보 방안 마련 시, 결과의 공정성 보다 과정의 공정성에 더 초점을 맞추고, 특히 상대적으로 계급이 낮은 실무자급 직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제도 마련이 조직공정성 담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how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s are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 work behavior of public employees, and further assesses how such association i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mployees’ occupational status and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group engagement model. By analyzing the survey responses of the public employees in Korean public sector, this study shows that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associations with the public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while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 has insignificant or negative associations with these outcomes. It further reveals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attitude becomes stronger if the employees have a lower occupational status or if they perceive that their organization has a regulatory culture. The current finding implies that the public organizations need to devote more of their limited resources to developing departmental policy for enhancing procedural justice rather than distributive justice, and in that process, they should ensure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rank-and-file employees in order to maximize the policy’s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