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2013) 자료 중 KELS 1차년도(2013년)부터 3차년도(2015년)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영재 학생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경험과 자기관리, 학업 자아개념, 영어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영어성취도 변화율을 추정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영재교육 경험이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 경험은 영어성취도 초기값과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교육 경험은 자기관리와 학업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관리와 학업 자아개념은 영어성취도 초기값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지속적인 변화과정에 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재교육 경험과 영어성취도 초기값의 관계에서 자기관리와 학업 자아개념은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재교육 경험은 자기관리와 학업 자아개념을 통해 영어성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영어성취도를 향상하기 위한 영재교육 경험의 중요성, 학업 성취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기관리와 학업 자아개념에 대한 영재교육의 긍정적 영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 제도적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영재 학생들의 영재교육경험에 대한 중요성과 영재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발전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is study, a potential growth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anel data from KELS 1st year (2013) to 3rd year (2015) among th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e Study (KELS2013)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gifted education experience. In addition, a dual-mediated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xperiences of gifted students in gifted education, self-management, academic self-concept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in English achieve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rate of change i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it showed a gradual increase over tim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gifted education experience on English achievement, the gifted education exper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English achievement and the rate of change. Third,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lf-manag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s. Fourth, self-manag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itial value of English achievement, but did not affect the continuous prosperity process. Fifth, self-manag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and the initial value of English achievement.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can increase English proficiency through self-manag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s. Finally,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gifted education experience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self-management that can help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the positive impact of gifted education on academic self-concepts. This study provides the importance of gifted students' experiences in gifted children's education and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