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전쟁 기간 조선로동당의 선전 정책의 결정과 집행은 그 자체가 북한의 정치의 반영이었다. 한국전쟁 초기, 김일성은 선전정책을 직접 결정하였고, 조선로동당은 김일성의 선전 정책을 실행하였다. ‘고상한 애국주의’ 선전 노선이 결정되었으며, 한국전쟁 초기 북한문학자들은 전투 영웅들이 발휘하는 ‘애국주의’의 원천이 김일성이라고 선전하였다. 1950년 9월 15일 UN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 이후 조선인민군의 전략적 후퇴로 인한 인민군과 북한 인민들의 사상적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10월 13일 박헌영은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으로 임명되어, 조선인민군의 선전 선동과 정치 문제를 책임지게 되었다. 11월 말 새로 부임한 소련고문단장 ‘라주바예프’는 선전선동 노선과 문학예술 단체를 재정비하였으며, 전투 영웅과 주민들의 ‘애국주의’를 고취하는 주체는 김일성에서 조선로동당과 인민민주주의로 바뀌었다. 그 결과 김일성의 권위는 약화되었으며, 1951년 문학예술 4월호와 5월호에 박헌영 계열의 김남천과 현덕은 조선인민군의 후퇴의 책임을 김일성에게 돌리는 소설을 실었다. 6월 23일 소련의 UN대사가 정전 협상을 제안하고, 6월 30일 김일성이 문학계 내부의 ‘종파주의’에 대해서 경고하자, 애국주의의 원천을 둘러싼 두 파벌의 대결이 격화되었다. 김일성 계열 문학자들은, 전투 영웅들의 애국심은 김일성으로부터 나와야 된다고 주장한 반면, 박헌영 계열 문학자들은 조선로동당과 인민민주주의 제도가 애국심의 원천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52년 10월 정전 담판이 무기한 휴회에 들어가고 전쟁이 계속될 상황이 출현하면서, 양 파벌 문학자들은 애국심의 원천 문제를 두고 재차 충돌하였으며, 1952년 11월 초 박헌영은 조선로동당의 역사는 1925년 자신이 만든 조선공산당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며 김일성에게 도전하였다. 이에 김일성은 1952년 12월 박헌영 계열 문학자들을 종파주의자로 비판하고 그 지도자인 박헌영을 숙청하였으며, 당 문학의 사상적 올바름을 결정하는 문제에서 박헌영의 도전을 제압하고 자신의 권력을 더욱 강화하였다. 한국전쟁 기간 발생한 애국주의 형상화에서 애국심의 원천 논쟁은, 사실상 박헌영과 김일성의 정치투쟁의 연장선이었다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Korean War, the decision and implementation of a propaganda policy by the Korean Workers’ Party [KWP] reflected the politics of North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Kim Il-sung decided on a propaganda policy, and it was the KWP which implemented that strategy. The policy line, "lofty patriotism" was decided on, and which in turn led to North Korean writers to tout Kim Il-sung as the source of "Patriotism" for combat heroes. In order to deal with the ideological chaos of both the Korean People’s Army [KPA] and the North Korean people following the "temporary strategic retreat" of the KPA after the UN Army’s successful landing operation of Incheon on 15 September 1950, Pak Heon-yeong was appointed as the Director of the General Political Bureau of the KWP on 13 October. Pak Heon-yeong had a leadership towards propaganda incitement and involvement in political issues of the KPA. At the end of November, Razuvaev, the newly appointed head of the Soviet advisory group reformed the propaganda policy, changing the principal agent which promoted the “Patriotism” of combat heroes and the North Korean people from Kim Il-sung to the KWP and People’s Democracy. He also organized a new literature and arts organizations having the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i as members. As a result, Kim Il-sung’s authority was weakened, and in April and May of 1951, Kim Nam-cheon and Hyun-deok wrote short stories which blamed Kim Il-sung for the temporary strategic retreat of the KPA. Following this, on June 3, 1951, Kim Il-sung and Mao Zhedong decided to start negotiations on an armistice, and on June 30, Kim Il-sung warned against "Sectarianism"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 Federation [KLAF]. Concurrently, the hostility between the Kim Il-sung and Pak Heon-yeong factions over the source of patriotism intensified. While writers affiliated with Kim Il-sung argued that the source of patriotism and heroism of combat heroes should come from the supreme leader Kim Il-sung, writers affiliated with Pak Heon-yeong argued that the KWP and the people’s democratic system should be the source of their patriotism. In October 1952, when the armistice negotiations entered an indefinite recess and the war continued, the two factions of the KLAF confronted each other again over the issue of source of patriotism. Then in early November 1952, Pak Heon-yeong challenged Kim Il-sung, claiming that the history of the KWP began with the Korean Communist Party which he had help organized in 1925. In response, Kim Il-sung criticized and labeled Pak Heon-yeong and his supporters as sectarianism and purged the outspoken leader in December of 1952. Consequently, Kim Il-sung overpowered Pak Heon-yeong’s challenge related to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ideological correctness of “Party Literature” and further strengthened his authority. Therefore, the debate on the source of patriotism and heroism i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mbat heroes during the Korean War was in fact an extension of the political struggle between Kim Il-sung and Pak Heon-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