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90년대가 누구의 어떤 입장에서 경험되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의 드라마틱한 양적 팽창으로 특징지어지는 1992년을 연구 대상 시기로 삼아, 서로 다른 행위주체들이 남긴 도전과 성취의 흔적을 탐색해본 것이다. 1992년경 정점에 다다른 포스트모더니즘 논란 속에서 학계와 문단의 비주류는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전례 없이 좋은 기회를 얻은 듯했다. 그러나 ‘베끼기에도 수준이 있다’는 장정일의 일갈에 드러나듯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예술론은 표절 논란에 휩쓸려 표류하게 되고 문단 권력은 더욱 공고화되는 양상마저 보이게 된다. 이처럼 기성 평단의 헤게모니가 공고히 유지되는 문학 장 안에서 프랑스 페미니스트의 탈근대 철학은 기왕의 여성해방문학운동을 위협하는 위험한 박래품 이상의 의미를 띠지 못하고, 포스트모던여성해방론이라는 모더니즘의 어떤 왜상(歪像)이 만들어지기에 이른다. 담론의 수준과 폭이 이렇듯 제한된 포스트모던 조건 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의 이론적 제휴로 기대될 수 있는 사유의 새 지평을 연 것은 문단 바깥의 페미니스트들이었다. 1990년대에 이르러 자신들의 자본과 기술로 직접 잡지를 기획· 편집·인쇄·출간하게 된 또 하나의 문화 동인들은 문단 내 비주류의 좌절이나 기성 평단의 헤게모니 재생산이라는 제한된 포스트모던 조건을 문단 바깥에서 거꾸로 제약하면서, 기성 학계와 문단의 ‘주류 콤플렉스’를 가시화하고 차세대 페미니스트의 교본이 되는 전위적 콘텐츠를 개발한다. 동시에 또문은 주변부의 인식론적 특권을 바탕으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천착함으로써 민족 문제와 여성 문제의 연쇄적 해결을 꾀한다. 1992년 한 해만 관찰해 보더라도 지금껏 우리에게 알려진 ‘90년대적인 것들’은 대단히 제한된 목록으로 구성된 것이었음을 알수 있다. 적어도 이성욱, 장정일 같은 문단 내 비주류나 문단 바깥 페미니스트 또문에게 이 시기는 ‘집단적 붕괴감’에 빠진 우울한 날들로 경험되지 않았다.


Being critical of the fact that the 1990s was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is study traces the attempts and achievements of various actors in 1992, which was a year of dramatic quantitative expansion of postmodern discourses. As postmodern controversy peaked in 1992, the non-mainstream groups of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seemed to have foun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to voice their opinions. However, as claimed by Jang Jeong-il that “even copying comes in different levels,” postmodern theories of literature and art were swept up in controversy, and literary circles solidified their authority. Given the strong hegemony of literary critics, the postmodern philosophy of French feminism was seen as no more than an imported good that threatened literature of women’s liberation, resulting in an anamorphic concept of modernism known as postmodern theory of women’s liberation. Amid the limited standard and breadth of postmodern discourses, feminists outside literary circles were the ones who opened a new window to a possible theoretical alliance between postmodernism and feminism. Like-minded individuals came together in the 1990s to form Alternative Culture (Ttomoon), which utilized its own capital and technology for the planning, editing, printing and publishing of magazines. Working against postmodern conditions such as the collapse of non-mainstream writers and reproduction of hegemony of critics, they visualized the “mainstream complex” of existing academia and literary circles, and developed radical content for next-generation feminists. At the same time, Ttomoon examined postcolonial feminism based on epistemological privilege of the periphery, thereby seeking a series of solutions to ethnic and women’s issues. Looking at 1992 alone, it is evident that the list of what we associate with the 1990s is highly limited. This period was not perceived as a depressing time of “collective collapse” in the eyes of non-mainstream writers such as Lee Seong-uk and Jang Jeong-il, and feminists outside literary circles who were members of Ttom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