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회와의 유배문학에 대한 체재를 규명하고, 유배시조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회와는 1722년 6월 20일 甲山 유배형을 선고받았으며, 갑산 유배를 소재로 하여 『북천일기』와 『갑극만영』을 편찬한 바 있다. 『북천일기』는 유배지로의 이동을 기록한 한문일기이며, 『갑극만영』은 유배지에서의 현실을 한시와 시조로 기술한 시문집이다. 본고가 회와 유배문학의 체재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은, 회와 유배문학의 기본 자료로 이용되는 『회와 윤양래연구』에서 체재와 번역의 오류를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먼저, 『북천일기』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4월, 6월, 7월에 걸쳐 기록된 27일 동안의 일기라고 하였지만, 날짜의 오류를 정정하면 4월, 5월, 6월, 7월에 걸쳐 기록된 일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갑극만영』의 경우는 한시 작품이 321편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255편밖에 되지 않으며, 작품에 대한 오류와 번역의 오류 등도 발견할 수 있었다. 본고는 회와의 유배문학 중 유배시조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회와 유배문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회와는 19수의 시조를 창작하였으며, 이질적 공간에 대한 거부와 동경, 호의적 상대에 대한 그리움, 책임 전가를 통한 자기 위로 등의 주제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ystem of exile literature of Yoon Yang-rae (Hoewa) and study exile sijo. Yoon was exiled to Gapsan Mountain on June 20, 1722, and he compiled 『Bukcheon Ilgi』 and 『Gapgeuk Manyeong』 on the theme of his exile in Gapsan Mountain. 『Bukcheon Ilgi』 is a journal written in Chinese about the transfer to the place of exile, and 『Gapgeuk Manyeong』 is a garland that described the reality at the place of exile in Chinese poem and sijo. The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stem of Yoon’s exile literature is that errors in the system and translation were found in 『A Study of Yoon Yang-rae (Hoewa)』, which is the basic material in the study of Yoon’s exile culture. First, in 『Bukcheon Ilgi』, advance researches stated that this journal was written over 27 days in April, June, and July. However, if the errors in the dates are correcte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at the journal was written in April, May, June, and July. As for 『Gapgeuk Manyeon』, it was known that it listed 321 Chinese poems while it only lists 255 poems, and there are errors in the pieces and the transl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Yoon’s exile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exile sijo in Yoon’s exile literature. Yoon wrote a total of 19 sijos, which were written on the themes such as the repulsion against strange place, a longing for a favorable opponent, and self-consolation through impu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