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어 경험 표현의 문법 형태(종결어미: (초)V󰠏아/어 보다 / (초)V󰠏(으)ㄴ 적이 있다/없다, 연결어미: (중)V󰠏(으)니까 / (중)V󰠏아/어 보니까 / (중)V󰠏고 보니까 / (중)V󰠏고 보면 / (중)V󰠏고 나니까 / (중)V󰠏고 나면 / (중)V󰠏다가 보니 까 / (중)V󰠏다가 보면 / (중)V󰠏노라면 / (중)V󰠏았/었더니 / (중)V󰠏더니)를 선정하고,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제시해야 할 교수 내용에 대해 살폈다. 한국어 교육에서 경험 표현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아/어 봤다’는 행동에 초점을 두어 표현 시점에 제약이 없지만 ‘󰠏(으)ㄴ 적이 있다’는 경험의 시점에 초점을 두기에 가까운 과거를 표현할 수 없다. 둘째, ‘󰠏(으)니까’는 단순한 행동의 결과로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는 의미 구조인 반면, ‘󰠏아/어 보니까’는 화자의 의지적인 시도로 새로운 결과를 알았다는 의미 구조, 즉 화자의 심리적 태도에 차이가 나타난다. 셋째, ‘󰠏고 보니까’는 어떠한 행동의 완료 후 알게 된 사실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아/어 보니까’와 차이를 드러내며,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구조적 차이에 의해 ‘󰠏고 나니까’와 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행동의 반복성을 드러내는 ‘󰠏다가 보니까’와 달리 ‘󰠏고 보니까’는 일회성의 의미를 나타낸다. 넷째, ‘󰠏다가 보니까’는 1인칭 주어의 개인적 경험의 결과를 표현하는 반면 ‘󰠏다가 보면’은 2인칭 주어의 경험을 표현하는 차이가 있다. ‘󰠏고 보면’과 ‘󰠏다가 보면’은 행동의 반복적 경험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상, 한국어 경험 표현의 문법 형태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 개별 문법 형태의 정확한 통사・의미・담화 기능적 특징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사 문법 형태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고려하여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grammatical forms of experience and use them in practic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grammatical forms that deliver a meaning of experience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아/어 봤다’ focuses on experienced action, while ‘ 󰠏(으)ㄴ 적이 있다’ focuses on the time of experience. The former one does not place a time restriction, while the latter cannot be used for the experience of the near past. Second, ‘󰠏(으)니까’ presents the recognition of the fact resulted from mere action. On the other hand, ‘󰠏아/어 보니까’ shows the fact recognized by volitional attempts. Third, ‘󰠏고 보니까’ and ‘󰠏아/어 보니까’ expresses the fact recognized after a certain action is comple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however, a speaker delivers a new fact learned from volitional action with the latter one. ‘󰠏고 보니까’ presents the content of the preceding clause as a reason for the judgment, while ‘󰠏고 나니까’ connects the preceding clause and the following clause with the meaning of ‘opportunity’. In addition, ‘󰠏고 보니까’ focuses on the result as it presents the fact known after action is completed; ‘󰠏다가 보니까’ focuses on the process as it presents the fact known in the process of repeated action. Fourth, ‘󰠏다가 보니까’ is combined with the past tense since it shows the result known in the process of the first person's experience. However, ‘󰠏다가 보면’ is combined with the present tense or the future tense since it present a general fact that can be known when the second person experience something repeatedly. Lastly, ‘󰠏고 보면’ assumes the beginning of a certain action, while ‘󰠏다가 보면’ expresses an assumption of repeated, experienced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