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만 5세 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기 쓰기교육에 대한 신념 및 실제, 초등학교 취학 직전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쓰기 지도에 대한 신념 및 실제, 초등학교에서 실행하는 한글책임교육에 대한 신념 및 실제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대구와 경북 지역의 사립유치원과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어머니 총 205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반응분석, χ²검증,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유아기 쓰기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와 관련해서 유아기 문해교육은 초등학교 준비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쓰기 수준보다 자녀가 높은 쓰기 수준에 도달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쓰기교육 시 유아를 수동적인 존재로 간주하고 있다. 둘째, 취학 직전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쓰기 지도에 대한 신념과 실제와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어머니와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자녀를 둔 어머니 간에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실행하는 한글책임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및 실제와관련하여서 한글책임교육의 내용에 대해서 안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초등 입학 전에 한글을 습득하도록 교육을 제공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쓰기 수준과 실제 유아에게 요구하는 쓰기 수준 간의 간극을 어떻게 좁혀갈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mothers who have kindergarteners about early writing, writing before entering primary school, and the enhanced Korean alphabet education at primary schools. A total of 205 mothers with children in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s in Daegu and Gyeongbuk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mot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early childhood writing, early childhood literacy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n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and was expected to be at a higher level of writing than the current national level curriculum. In addition, children were considered as a passive being whey the mothers taught writing.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others with children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mothers with children in public kindergartens with respect to writing instruction in kindergarten just before school. Third, in relation to the mothers’ beliefs and practices on the enhanced Korean alphabet education at primary schools, respondents who knew about the contents of the enhanced Korean alphabet education at primary school accounted for a majority, but responded that they would still provide education to acquir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in order to bridge the gap of the writing level suggested by the curriculum and the writing level required for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