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삼과 산양삼에 대해 아무런 정보가 없는 초보 소비자가 인삼을 산양삼이라 여기는 사기 상황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산양삼 형태에 대한 기저수준을 확립하려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소비자가 스마트폰의 전용 APP으로 인삼을 촬영하면 그 사진이 원격으로 전송되어, 기계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별한 결과가 소비자에게 전송되는 서비스디자인을 고안했다. 연구과정에서의 데이터 셋과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했을 때의 배경색, 산양삼의 위치, 크기, 조도, 색온도 등과의 차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소비자 용전용 촬영 박스를 디자인 했다. 이에 따라 산양삼 샘플 수집은 디자인된 박스와 동일한 통제된 환경과 세팅 하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기계학습에서 통상 필요한 것 보다 약 1/10이 적은 샘플을 사용해CNN(VGG16)모델에서 예측 확율 100%를 얻었다.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a base level for the form of ginseng in order to prevent fraud in which novice consumers, who have no information on ginseng and mountain ginseng, regard ginseng as mountain ginseng. To that end, researchers designed a service design in which when a consumer takes a picture of ginseng with an APP dedicated to a smartphone, the photo is sent remotely and the determined results are sent to the consumer based on machine learning data.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set in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background color, location, size,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mountain ginseng when consumers took pictures through their smartphones, the filming box exclusively for consumers was designed. Accordingly, the collection of mountain ginseng samples was made under the same controlled environment and setting as the designed box. This resulted in a 100% predicted probability from the CNN(VGG16) model using a sample that was about one-tenth less than widley required in machin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