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정된 아동발현불안척도(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는 아동 및 청소년의 발현 불안 수준을 측정하고자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에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가 여러 차례 입증된 바 있다. 최근 RCMAS의 심리측정적인 속성을 개선시키고자 일부 문항 및 하위척도를 수정한 개정된 아동발현불안척도 2판이 새롭게 출간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94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개정된 아동발현불안척도 2판(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Second Edition; K-RCMAS-2)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5요인 모형을 비교한 결과, 4요인 모형에서 가장 나은 모형 적합도를 보고하였다. 내적 합치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계수 범위는 .65–.88로 확인되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상관계수 범위는 .80–.88로 나타나 양호하였다. 또한 K-RCMAS-2 척도들은 아동우울척도 2판과 소아 상태-특성불안 척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공존 및 수렴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불안 수준에 성별 및 학년 변인이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지지 않았으며, 개인의 불안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K-RCMAS-2는 국내에서 아동의 기질적인 불안 수준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써 학교 및 상담 현장에서의 활용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Second Edition (RCMAS-2) in a community sample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has been widely used to measure manifest anxiety level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across cultures. Recently, the RCMAS-2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by removing old items and changing the ambiguous sentences. A total of 940 Korean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Second Edition (K-RCMAS-2). To determine the structural validity, the four-factor model was found to be the best model in terms of model complexity and parsimony.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scale was acceptable within the range of .65–.88.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each scale was good in the range of .80–.88. Concurrent and convergent validity was good, as shown by the correspondence of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2 and Spielberger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The impact of gender and grade on anxiety level were found to be minimal,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emphasizing individuals’ manifest anxiet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