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조지 맥아피 맥큔(George M. McCune, 1908~1948)의 저서 Korea Today에 나타난 그의 한국 인식을 다룬다. 맥큔은 종전 후 자신의 학문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학계에 ‘제1세대 한국학자’로서 정착하고자 했다. 맥큔은 전쟁 전후 한국에 대한 미국의 관심을 환기하려 노력했다. 미국의 지역연구 흐름에서 한국에 대한 수요나 관심은 낮았지만, 맥큔은 한국학자로서 자신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하려 노력했다. 그는 국무부 극동국에 한국문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설을 제안했으며, 모교 버클리대학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3년 동안 한국사․극동외교사․한국어 등을 강의했다. 또한 극동 관련 학술지(FEQ, FES, PA)에 한국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로 많은 글을 투고했다. 한편 그는 1882년 체결된 조․미 수교 관련 자료를 해제하기도 했다. Korea Today의 집필 및 출판은 단지 맥큔의 개인적 연구 경력뿐만 아니라 1940년대 미국 제도권 학계가 지역연구에 보인 관심과 맞물려있었던 것이다. Korea Today는 일종의 한국 관련 자료집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해방 후 남북한의 정치․경제적 상황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만 책의 구조상 남․북한의 대칭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전체적으로 남한의 상황과 미군정의 정책 분석이 서술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다. 소련 및 북한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내용이 다소 불균형해진 점은 ‘미국 지식인’으로서 맥큔이 마주한 한계였다. 맥큔은 일제 식민통치의 경제적 착취성을 전제로 하되 한국 정치의 낙후성이 경제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기존 선교사 출신들이 한국 정치의 분열성을 한국인의 기질과 연관시켜서 분석했다면 맥큔은 이를 능력의 부재가 아닌 경험 부족이라는 의견을 분명히 했다. 또한 한반도에 수립될 정치․경제체제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 자본주의 도입 후 산업화로의 이행 및 미국식 자유민주주의가 수립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견지하며 미국 제도권 학계 지식인의 면모를 보였다. 한편 맥큔은 한국인들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통일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한국인들에 대한 그의 심정적 공감이 반영된 것이었다. Korea Today는 한국에 관한 관심이 저조한 1950년대 초반에 발간되어 사람들의 흥미를 제고시켰으며, 한국학 연구의 공백을 메웠다. 또한 사료의 활용․검증 측면에서 ‘한국 전문가가 쓴 역사 개론서’라는 위상을 공고히 했다. 더불어 Korea Today의 간행은 미국 한국학의 출발 시점이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1950년 초에서 2차대전 종료 직후로 당겨짐을 시사한다. 맥큔의 한국 인식은 미국 제도권 지식인의 사고와 한국․한국인에 대한 심정적 동조가 혼재되어있는 다층적 면모를 보인다. 맥큔의 한국 인식의 특수성이 유년기 한국 경험에서 나온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맥큔과 유사한 경험이 있는 다른 ‘제1세대 한국학자’들의 한국 인식도 함께 살펴봐야 더욱 포괄적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이는 기존 친한․반한의 이분법적 틀을 넘어 맥큔과 같은 인물들이 가지는 다양한 정체성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This article examines George McAfee McCune’s view on Korea through his book Korea Today. After WWⅡ, McCune wanted to establish himself as a "first-generation Korean scholar" in American academia based on his academic expertise. Around war time, he put a lot of effort to make U.S. get interested in Korea. Although researches in the U.S. Area Studies had little interest in Korea, McCune tried to secure his own territory as a Korean scholar. He suggested to the Far Eastern Bureau in the State Department to open a new program for training experts in Korean issues, and lectured on Korean history, Far East diplomatic history, and Korean for three years before his death at his alma mater University of Berkeley. He also contributed many articles to the journal(FEQ, FES, and PA) on various topics related to Korea. Meanwhile, he published a book dealing with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The publication of Korea Today was not only for as a historian, but also related with the interest of American institutional academia in Area Studies in the 1940s. In Korea Today he analyz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of Korea, which was divided after after liberation. Even though the structure of the book requires a symmetrical analysis of the South and the North, overall, the analysis of the situation is mainly about the South Korea and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It was McCune’s limitation as an “American intellectual” that the contents were disproportionate because resources from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were inaccessible for him. McCune argued that the economic exploit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on Kor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nderdeveloped Korean politics was preventing economic development. According to McCune, however, if missionaries had lived in Korea long enough to analyze analyzed the divisiveness of Korean politics by linking it to the temperament of Koreans, it would be clear that it was not a lack of ability but a lack of experience. Regar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o be established on the Korea, he maintained his belief that ultimately, after the introduction of capitalism, the transition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merican-style free democracy should be established, which shows the aspect of intellectuals from the America’s institutions. Meanwhile, McCune argued that unification would be essential for Koreans to be happy, reflecting his emotional sympathy for them. Korea Today was published in the early 1950s when the U.S. academic interest in Korea was low, raising people's interest and filling the gap in Korean Studies. It also solidified its status as a “History book written by the Korean expert” in terms of the use and verific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Korea Today suggests tha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studies in the U.S. will be moved from early 1950 to right after the end of the WWⅡ. McCune’s view on Korea shows a multi-layered aspect of the thoughts of intellectuals in the American institutional academia and the emotional sympathy for Korea and Koreans.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unique features of McCune’s view on Korea derived from his experience in Korea when he was you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views on Korea of other "first-generation Korean scholars" who have similar experiences with McCune is necessary. This article to look beyond the existing dichotomy between pro-Korean and anti-Korean, and to examine the various identities of characters like McC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