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의 기부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여 이들이 잠재적 기부자원으로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고 기부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는 베이비붐세대는 이전 노인세대에 비해 높은 교육수준과 경제력, 숙련된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폭넓은 인간관계와 적극적으로 여가를 향유하고 있다는 특성을 지녀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을 축적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원통합이론을 적용하여 베이비붐세대의 현재 기부참여와 향후 기부의향에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이 2015년에 조사한 제6차 국민노후보장패널 부가 자료를 이용하여 베이비붐세대 2,29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적, 사회적자원 그리고 여가생활만족도가 향후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현재기부참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중 사회적자원과 여가생활만족도는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자원과 향후기부의향간의 관계에서 현재기부참여의 부문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베이비붐세대를 기부할 수 있는 자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잠재기부자로 인식하고 이들의 기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구상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giving among the baby-boomers to verify their potential resources and suggest strategies for promoting giving behavior. The baby-boom generation, accounting for about 14% of the total population, has a higher level of education, economic power, and skills than the previous generations. And they are known to have a large set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allowing them to enjoy a wide range of social relationships and engage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Using the “Integrated Theory of Resources” as a theoretical framework, information from 2,292 baby-boomers in the Six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human resources, social resources and the satisfaction of leisure all had positive effect on present giving behavior, which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spective willingness to giving. The bootstrapping tes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current giving behavior was a significant mediator, fully mediating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resources on the willingness to give while it partially mediated. The leisure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be partially mediating the human resource and willingness to giving. Findings show a need to recognize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baby-boomers in sustainabl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