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함께 발전경제학은 주류 경제학의 관심에서 거의 완전히 멀어진, 주변화된 분과가 되었다. 이 글은 이 변화가 경제학 내외부의 담론적 맥락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었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경제적 성장을 설명하고자 하는 경제학 내부의 욕망에서 출발한 발전경제학은 전시 경제와 간전기의 기술관료제적 합리화 운동, 냉전적 조건의 등장과 지식-권력의 재편, 신고전주의의 결정적이고 최종적인 승리의 과정에서 부침을 겪었다. 이 글에서는 발전경제학의 발전 경로를 시대별로 추적하면서 간전기와 냉전적 상황이라는 역사적 맥락이 어떤 방식으로 경제학적 문제의식과 만나고 발전경제학의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첫째 장은 경제학 지식 내부에서 어떻게 발전 혹은 성장이 문제화되는지를 1920~30년대의 경제학적·정치적·문화적 상황에 비추어 설명한다. 두 번째 장은 냉전 초기의 정치적·경제적 과제가 발전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를 구성해가는 과정을 서술한다. 마지막 장은 이렇게 구성된 발전경제학이 근대화 이론으로 전유되고 종속이론의 도전을 받으면서 해체되어 가는 과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The expansion of Neo-Liberalism marginalized development economics, once crown jewel of modern economics, driving it out of the mainstream economic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how this dramatic change came about in relations to the discursive contexts in and out of the academic discipline of economics. Born out of the desire to explain “change” in neo-classical model, development economics rose and fell with wartime economic management, interwar technocratic rationalization movement, the Cold War rearrangement of power-knowledge nexux, and the final and decisive triumph of neo-classical economics. This article chronically traces developmental paths of development economics. The first section deals with how cultural, political, and academic conditions problematized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1920s and 30s. The second section describes how the Cold War rearragement of knowledge production shaped development economics as an academic and policy discipline. The final section shows how the modernization theory appropriated―and the depedency theory challenged―development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