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모형을 구안하고,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요인 모형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반대학원 교육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전문가 1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일반대학원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18부의 자료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①교육과정, ②교수학습, ③학습성과, ④연구지도, ⑤연구문화, ⑥행정지원, ⑦연구활동 지원의 7요인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모형에 대한 내적일관성 및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총 39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측정도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educational satisfaction scales for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developed based upon literature and total 318 data was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both found to be adequate for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measure. Finally, the model was drawn to have the following seven factors: 1) curriculum, 2) teaching and learning, 3) outcomes from classes, 4) research apprenticeship, 5) research culture, 6) administrative support, 7) support for research activit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scales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s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by embracing multidimensional factors into the sc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