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常用漢字表(2010)에서 [ㅓ]ə·[ㅕ]jə에 해당하는 46字 56音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일 한자음 간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일본한자음의 학습에서 필요한 사항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한국한자음 [ㅕ]jə는 일본한자음 jo(69.23%)와 주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ㅓ]ə 또한 jo(55.81%)와 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①ə·jə ⇒ jo 라는 대응관계를 학습할 필요가 있다. 또한 [ㅓ]ə는 모두 한국어의 [ㅅ·ㅈ·ㅊ]에서 [ㅕ]jə가 單母音化함으로써 나타난 형태라는 사실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2)한국한자음 [ㅓ]ə는 ei(20.93%)와 일부 대응하고 있으며, [ㅕ]jə 또한 일본한자음 ei(15.38%)와 일부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②ə·jə ⇒ ei 라는 대응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의 [ㅕ]jə는 [ㅖ]jəi로 수용할 경우 2音節化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이며, [ㅓ]ə는 [ㅕ]jə에서 單母音化된 형태임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3)한국한자음 [ㅓ]ə는 o(13.95%)와 소수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③ə ⇒ o라는 대응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의 o는 모두 吳音이라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한자음의 다른 모음과 대응하는 일본한자음의 字音形에 관해서는 추후의 연구를 통하여 대응규칙을 활용한 학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46 Chinese characters contained in the Joyo Kanji Table (2010) corresponding to the /ə/·/jə/ vowels of Sino-Korean. Then we analyzed the correspondences between Sino-Korean and Sino-Japanese. Furthermore, we considered a range of methods to help learners assimilate Sino- Japanese.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1) There is a 69.23% correspondence between the /jə/ sounds of Sino-Korean and the /jo/ vowel of Sino-Japanese; and there is a 55.81% correspondence between the /ə/ sounds and /jo/.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①ə・jə ⇒ jo, and also to realise that the /ə/ sound of Sino-Korean is the form produced by the vowel shortening of /jə/, which is accompanied by the consonants /s (ㅅ),·c (ㅈ),·and ch (ㅊ) / in Sino-Korean. (2) There is a 20.93% correspondence between the /ə/ sounds of Sino-Korean and the /ei/ vowel of Sino-Japanese, and there is a15.38% correspondence between the /jə/ sounds and the /ei/ s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②ə·jə ⇒ ei, and to note the /jə/ sound is a form that prevents two syllables being necessary when employed as /jəi/; and /ə/ is a form produced by the vowel shortening of /jə/. (3) There is a 13.95% correspondence between the /ə/ sounds of Sino-Korean and the /o/ vowel of Sino-Japane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③ə ⇒ o ; and to note that the /o/ sound constitutes the whole of the syllable Go’on. Our future research will involve continued study of the forms in which Sino-Japanese correspond to other Sino-Korean. vowels Through this work we will continue to present a learn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basis of such correspond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