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아동·청소년의 구조적 빈곤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이질적 변화 양상을 보일 것이라 가정하여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유형화하고, 변화의 유형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1~5차년도 데이터의 492명의 초기청소년 자료를 활용하여 성장혼합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며, ‘완만한 증가집단’(51.29%), ‘급감소집단’(7.39%) 및 ‘상위유지집단’(41.33%)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변화 유형화에 미치는 생태체계적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개인요인 중 우울이, 부모 및 또래요인 중 또래소외감이 초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잠재집단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의 개인차를 확인하고,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취약계층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이 연구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the self-esteem changes among early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o test the antecedents of such changes. To achieve these goals, the 1st to 5th waves of the 2nd data set involving 492 early adolescents from the Panel Study on Community Child Center were used, and from this data, a growth mixture model (GMM)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arly adolescents’ self-esteem changes were identified as being in three latent classes: a steadily increasing group(51.29%), a rapidly decreasing group (7.39%), and a high-level stable group(41.33%). Secondly, among antecedents,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peer aliena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