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지역 산림의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이하 ES) 공급량 순위를 추정하고 지도화하는데 있다. 델파이 분석을 통해 국내 지역 산림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ES의 국제적 논의에 적용가능한 세부 ES 10개를 선정했다. ES 순위는 문헌 분석, 국내 ES 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 공간 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강원도 가리왕산의 경우 조절서비스가 가장 높은 공급량을 나타냈으며, 경기도 연인산의 경우 문화서비스가 가장 높은 공급량을 나타냈다. 서로 다른 자원 특성을 지닌 두 지역의 산림에서 공급량의 세부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도출된 결과에 대해 지역주민과 관리자 대상 인터뷰를 통해 공급량 우선 순위 추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토지이용점수화 접근법은 국내의 산림 지역을 대상으로 산림 ES 관리 계획 수립 시 초기의 조건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and map the priority order of South Korea’s local forest ecosystem services (referred as ES) supply stock. Delphi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ten particular ES that meet the national standards and reflect South Korea forest characteristics. The order of ecosystem supply stock was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with domestic ES research experts, and spatial analysis. For Gariwangsan in Gangwon-do, the water quality control service showed the highest ES supply stock. For Yeoninsan in Gyeonggi-do, the cultural service of recreation and tourism showed the highest ES supply stock. In sum, the priority order of ES supply stock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mountains. The validity of our finding based on the Delphi analysis was check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local residents and managers. Based on our result, we suggest that the land use score approach is considered to be a suitable method for evaluating the initial conditions when establishing a forest ecosystem service management plan for local forest area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