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0년 초기 이후 코로나19(COVID-19)의 팬데믹 위기에 대처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탐구하기 위한 시도였다. 공동체의식과 사회적 책임의식 및 자기오락화 역량을 조절변인으로 고려하여,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이 야기하는 심리적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하였다. 302명의 대학생 표본으로부터 웹서베이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코로나19 팬데믹의 위기상황은 부정적 심리반응을 유의하게 유발하고 있고, 그 경향은 자기오락화 역량이 부족하다고 생각할수록 증가한다. 이런 결과의 패턴은 여성 표본에서, 그리고 코로나19의 위기감이 큰 지역 표본에서 유의하게 더 강했다. 둘째, 팬데믹의 위기 상황은 긍정적 심리반응을 유도하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는데, 사회적 책임의식이 촉진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그 경향은 여성 표본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코로나19라는 팬데믹의 위기에 취약한 사람들과 반대로 잘 대처하는 사람들의 특징이 다르다는 것을 알려준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 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coping capacity to the pandemic crisis of COVID-19 which had been spreaded in KOREA from Jan. 2020. It was anticipated that the frequencies of both negative and positive psychological responses induced from the pandemic crisis would be varied by three moderators;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beliefs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self-as-entertainment capacity[i.e., SAE]. The 302 undergraduates data were collected with Google web survey metho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into two points; first, the significant influential path of the pandemic crisis from COVID-19 on the negative psychological response has been more facilitated by the helplessness factor of SAE. The facilitating moderate effect was more in the female sample and the sample with higher crisis of COVID-19.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pandemic crisis has been facilitated by beliefs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facilitating moderate effec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female sample. The results imply that the different people who are vulnerable or tolerable to the pandemic crisis may have diff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elplessness or social responsibility. In conclusion, it was discus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study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