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문법’ 영역 교과서를 대상으로 언어 단위별 학습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법 교과서가 만들어진 이래 언어 단위는 대단원을 구성하고 교육 내용을 조직하는 중요한 준거가 되어 왔기 때문이다. 언어 단위별로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법 교육에서 언어 단위가 갖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언어의 형식적 측면에서의 단위적 특성 외에, 교육의 목적과 교육의 대상인 학습자 요인을 고려하였다.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의 유형은 학습자의 목표 지향적인 문법적 사고의 과정과 문법적 수행 경험을 반영하였다. 문법 교과의 특성상 어떤 언어 단위이든 국어의 체계성과 관련된 학습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그 중 ‘이해’와 ‘분석’ 과정이 많다. 특히 형태소와 음운 체계 부분은 다른 언어 단위에 비해 ‘활용’의 비중이 낮다. 그러나 이전 교과서와 달리 음운 단위는 ‘활용’ 측면이나 국어의 기능성을 구현하는 학습 활동이 제시되었다. 문장과 담화 단위는 국어의 기능성 차원에서 다뤄지는 경우가 많았다. 국어의 관념성과 관련된 학습 활동은 많지 않다. 단어 단위에서는 단어의 의미 관계, 단어의 짜임(새말 만들기), 음운 단위에서는 발음에 관한 부분에서 국어의 관념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 문법 교과서가 어떤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야 하는지를 간접적으로 제시한다는 의미도 함축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spects of learning activities by the linguistic unit for high school 'grammar' textbooks. Ever since grammar textbooks were first created, linguistic units have been an important standard by which the educational content is organized. The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for grammar textbooks reflect the process of learners' objective-oriented grammatical thoughts and grammatical performance experienc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textbooks, most of the learning activities in every linguistic unit are related to the systemicity of Korean language, and among them, 'understanding' and 'analysis'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particular, in terms of 'utilization,’ its portion in morphemes and phonology is smaller compared to other linguistic units. Unlike previous textbooks, however, phonological units were presented with learning activities that embodied the 'utilization' aspect or the functionality of Korean language. Both sentence and discourse units are often presented at the level of Korean language's functionality. The frequency of learning activities involving the Korean language's ideality was lower.